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고암집 / 古巖集 [종교·철학/유학]
김세락의 문집. 석인본, 8권 4책. 권1에는 사 <차귀거래사>와 시127 제180수, 권2에는 시108제166수와 소 <청참오적물허왜청소>. 권3에는 서 44편, 권4에는 잡저로 <한명제구불법론> <고암설>, <효감설>, <양화설>, <유주왕산록>, <동유록>과 서1
고양 봉성암 전성능대사 부도 / 高陽奉聖庵傳聖能大師浮屠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봉성암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성능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석조 불탑.사리탑. 시도유형문화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8호. 봉성암은 1713년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이던 성능대사(聖能大師)가 북한산성 축성 시 산성의 수비를 위하여 25칸 규모로 건립한
고양향교 / 高陽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에 있는 향교. 조선 숙종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서 창건되었다. 창건 이후의 자세한 역사는 전하지 않지만 여러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1970년 담장을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은 대성
고운 영정 / 孤雲影幀 [예술·체육/회화]
신라 말의 학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의 영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6호. 세로 105㎝, 가로 74㎝.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일곡동 학남서원 계동사(1882년 건립)에 소장되어 있다. 화면의 왼쪽 상단에 세로로 ‘신라최선생고운지진영’(新羅崔先生孤雲之眞影)
고운당필기 / 古芸堂筆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필기류 작품. 4권 2책. 한문필사본. 『고운당필기』의 체재는 제3·4권은 1792년(정조 16)에서 1793년, 제5·6권은 1793년에서 1801년(순조 1)까지의 일들이 연대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 나라의 문학·예술
고운사가운루 / 孤雲寺駕雲樓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학자 최치원이 승려 여지대사 등과 창건한 사찰건물.시도유형문화재. 정면 5칸, 측면 2칸의 익공계 팔작지붕건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1호.고운사는 의상(義湘)이 창건한 절로, 신라 말엽 최치원(崔致遠)이
고유 / 高裕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79). 1743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병조좌랑·창녕현감·경상도사·안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지방관으로 있을 때 토지·소송 문제 등을 잘 처리하였고, 1796년에 청백리에 추천되었다.
고을모둠놀이 [생활/민속]
서당의 학동들이 정해진 책의 글자와 자기가 아는 다른 글자를 맞추어, 두 자로 된 고을이름을 짓던 놀이. 문자유희의 한 가지이다.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린이가 둘러앉아 한문책의 글자수가 많은 쪽을 펼쳐놓고 제각기 고을이름이 될만한 글자를 한 자 찾아낸다. 거기에 자기가
고인계 / 高仁繼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47(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예문관직제학 고거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주부 고윤종, 아버지는 전력부위 고경운, 어머니는 안동김씨이다. 큰아버지인 고성군수 고흥운에게 입양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는 피난 중에서도 입양
고재문집 / 顧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순조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은 없고, 그의 증손 우계(宇啓) 등에 의해 편집되어 순조 연간에 간행되었다. 서·발 등 간행경위를 알 수 있는 기록이 없다. 동국대학교 도서관·경북대학교 도서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