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노주집 / 老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오희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오희상의 아들 오치성(吳致成)이 유고(遺稿)를 수집해 38권 19책으로 간행한 것을 증손 오준영(吳俊泳)이 수정해 1892년(고종 29)에 간행하였다. 권1에 소 15편, 상서(上書) 3편,
노주집 / 鷺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724년(경종 4)신의집(申義集)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신의집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29수, 행장 3편, 묘문(墓文) 2편, 제문 1
노준명 / 盧峻命 [종교·철학/유학]
1606(선조 39)∼1652(효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영의정 수신 증손, 할아버지는 대해, 아버지는 도형, 어머니는 최황의 딸이다. 163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 홍원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노진 / 盧禛 [역사/조선시대사]
1518년(중종 13)∼1578년(선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자응(子膺), 호는 옥계(玉溪),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함양 출신이고,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1537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46년(명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의 천거로 박
노처녀가 / 老處女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조선 후기 가사. 규방가사로 보기도 하나 그 성격을 규정하기 어렵다. 이 작품은 이본이 여럿 있는데, 시집 못간 미모의 노처녀가 토로하는 신세한탄을 내용으로 하는 계열과, 추녀이며 갖은 병신인 노처녀가 결국 시집을 가게 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열
노천집 / 老川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안정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909년 안정려(安鼎呂)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곽종석(郭鍾錫)의 발문이 실려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노초집 / 老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송의 시·서(書)·제문·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12권 6책. 필사본. 저자가 생존시 탈고한 것으로 추정되며, 권두에 자서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5에 시 1,122수, 권6∼8에 소 2편, 서(書) 97편, 서(序) 6편, 기 4편,
노촌집 / 老村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임상덕의 시·소·기·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10권 5책. 목활자본. 서문·발문이 없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권2에 소·계, 권3에 기·서(序)·발·논·변, 권4에 전(傳)·잠·명·찬·설·잡저, 권
노추산 / 老秋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과 정선군 여량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22m이다. 노추산은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는 조고봉(鳥高峰, 1,191m), 남서쪽에는 다락산(多樂山, 1,019m), 동쪽에는 사달산(四達山, 1,184m) 등이 솟아 있다
노태우 / 盧泰愚 [정치·법제/정치]
1932 ~ ? 군인, 정치가. 제13대 대통령. 1951년 경북중학, 1955년 육사11기로 졸업. 1968년 육군대학을 졸업하고 수도사단 맹호부대 대대장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했다. 1974년 공수특전여단장, 1979년 9사단장으로 12.12사태 당시 전방의 예하병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