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노자주해 / 老子註解 [종교·철학/도교]

    조선후기 학자 박세당이 노자의 『도덕경』을 풀이한 주석서. 2권 1책. 목판본. ‘신주도덕경’이라고도 한다. 간행 연대는 미상이다. 예와 지금의 전주(箋註:본문의 뜻을 해석한 주석)를 참작하여, 삭제할 것을 삭제하고 보충할 것을 보충하면서 저자의 의견과 평을 추가하였

  • 노잠문집 / 魯岑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손여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5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75년(고종 12) 6대손 영준(永準)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영(張錫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정중기(鄭重器)와 영준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노재집 / 魯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희삼의 시·서(書)·제문·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경위나 필사시기를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 시 112수, 제문 1편, 부록에는 지구간독시문(知舊簡牘詩文)인 서(書) 21편, 시

  • 노저유사 / 鷺渚遺事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이양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0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연활자본. 1940년 11대손 능화(能和)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48수, 가사(歌辭) 2편, 시조 1수, 명 2

  • 노적봉 / 露積峰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咸鏡北道) 명천군(明川郡) 보촌리에 있는 봉우리. 주위의 칠보산에는 금강굴(金剛窟)·개심사(開心寺) 등이 있다. 주변을 흐르는 보촌천(寶村川)은 삼간봉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으로, 노적봉의 건너편에는 보림온천(寶林溫泉)도 있다. 산수경치가 아름다워

  • 노적봉설화 [문학/구비문학]

    적과 전투를 하던 장수가 산꼭대기에 식량이 넉넉하다는 것을 과시하는 꾀를 내어서 적을 물리쳤다는 내용의 설화. 지략담에 속하며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된다. 대표적인 것이 전라남도 목포시 대의동에 있는 「노적봉전설」이다. 임진왜란 때에 이순신(李舜臣)이 이곳에 진을 치고

  • 노전문고 / 老田文稿 [종교·철학/유학]

    대한제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문인 정환국의 시·만사·서(書)·서(序) 등을 수록한 시문집. 필자의 본관은 오천(烏川), 자는 공좌(公佐), 호는 노전(老田)이다. 아버지는 정원화(鄭元和), 어머니는 진주강씨(晉州姜氏)이다. 문집의 내용은 시(詩) 224수, 만

  • 노정약기 / 路程略記 [역사/근대사]

    공주 출신유생 김원명이 1895년 4월부터 1896년 1월까지 중국을 여행하고 돌아온 과정을 기록한 견문록. 김원명의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공주 출신의 유생이다. 김원명은 이 책에서 1895년 4월공주를 출발해 서울, 인천을 지나 황해도 신천의 안태훈(安泰勳)집에서

  • 노주문집 / 蘆洲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태일의 시·소·기·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5권 3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연대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는 부(賦) 2편, 시 365수, 권3은 소 8편, 서(書) 2편, 서(序) 1

  • 노주유거 / 盧洲幽居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시조. 조선 후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시조. 1636년(인조 14)경에 지은 것으로 여겨진다. 『노계집 蘆溪集』 권3에 수록되어 있으며, 한가한 자연의 흥취를 노래한 것이다. 노주는 작자의 고향인 영천(永川)을 말하는 것으로,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