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노운삼관통 / 老耘三官通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윤동절의 역해설·가전·사례(四禮)·서간 등을 수록한 문집. 제1책 권두에 총목이 있고, 다시 5책의 서두에 각기 부분 목록이 있다. 제1책은 총 4권으로 되어 있다. 권1에서 권3은 역해설(易解說)인데, 권1은 「상경(上經)」으로 건(乾)·곤(坤)·준(
노운집 / 老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홍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92년 문인 김휘석(金輝奭)과 종손(從孫) 학유(學裕)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과 권말에 김휘준(金輝濬)과 홍종선(洪鍾善)의 발문이 있다.
노원구 / 蘆原區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동북부에 위치한 구. 동쪽은 경기도 구리시, 서쪽은 도봉구와 강북구, 북쪽은 경기도 의정부시, 남쪽은 성북구와 중랑구에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7°02'~127°06', 북위 37°36'~37°41'이다. 면적은 35.44㎢이고, 인구는 57만 458
노원문집 / 魯園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철수(1822∼1887)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3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김화영의 발문이 있다. 각 책별로 권수에 목록이 있고, 이
노은서원 / 魯恩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에 있었던 서원. 1676년(숙종 2) 이량(李0x9621)이 성삼문(成三問)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옛 집 근처에 사우를 세워 제향하였으며, 1685년에 사육신 중 나머지 다섯분을 모셨다. 그 뒤, 1692년에 ‘노은’이라고 사액
노은실기 / 老隱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박준의 유고와 행장·묘지명 등을 수록하여 1936년에 간행한 실기. 2권 1책. 목활자본. 1936년 후손 치우(致禹)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홍락(金鴻洛)·박현구(朴顯求)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임세빈(任世彬)과 치우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노은유고 / 老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경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석인본. 1939년 그의 7세손 장환(章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환과 김명연(金命淵)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상지(金相摯)와 김회연(金會淵)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
노은집 / 老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임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4년에 간행한 시문집. 1794년(정조 18) 임적의 아들 정주(靖周)가 간행하였다. 4권 2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은 시, 권2는 서(書)·서(序)·기·제발(題跋)·설·전(傳)·논, 권3은 잡저·제문,
노응규 / 盧應奎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의병장(1861∼1907). 허전 문인이다. 을미사변 후 안의에서 의병을 일으켜 진주성을 공격하여 장악하였다. 1902년 동궁시종의 직책을 맡았으나,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사직한 뒤, 한성 진군 계획의 누설로 체포되어 한성경무서 감옥에서 옥사하였다. 197
노응허여문기 / 盧膺許與文記 [정치·법제/법제/행정]
1464년 재주인 노응이 외손 김효로에게 노비 4명을 허여한 문서. 허여문기. 허여문기는 재산을 급여할 때 쓰는 문서로 직계존속에 의한 경우도 있으나 방계 및 인척에 의한 경우도 많다. 따라서 뒤에 분쟁의 가능성이 많으므로 대개의 경우 관(官)의 입안(立案)을 받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