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노성 / 魯城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논산 지역의 옛 지명. 414년(태종 14) 석성(石城)과 합쳐 이성(尼城)으로 하였다가 1416년 다시 나누었다. 정조 초에 노성으로 고쳤고, 1895년 23부제 실시 때 공주부 관할의 군이 되었으며, 1896년 13도제 실시 때 충청남도의 4등군이 되었다.

  • 노성읍지 / 魯城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노성(현 논산시 노성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901년에 편찬한 지방지. 내용 구성은 진관(鎭管)·방리(坊里)·도로·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形勝)·성지(城池)·관직(官職)·산천·성씨(姓氏)·풍속·단묘(壇廟)·제언(堤堰)·창고(

  • 노성향교 / 魯城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에 있는 향교. 1398년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그 뒤에는 1967년과 1975년에 중수하였다는 기록만이 전한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 가을에 석전(釋奠

  • 노소재문적 / 盧蘇齋文籍 [언론·출판/출판]

    조선전기 문신·학자 노수신의 후손가(경상북도 상주시)에 소장된 전적류. 노수신의 문집·일기 및 관계 문서로, 문적에는 『노소재문집(盧蘇齋文集)』·『정사수록(呈辭手錄)』·『정청일기(政廳日記)』·『춘추관일기(春秋館日記)』·『광산노씨보략(光山盧氏譜略)』등이, 문서에는 매매

  • 노소재시강록 / 盧蘇齋侍講錄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노수신이 서연관으로서 진강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1권 1책. 필사본. 1547년(명종 2) 9월에 노수신이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어 적소(謫所)에서 정리한 것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544년(중종 39) 2월 14일에 시

  • 노수신 / 盧守愼 [종교·철학/유학]

    1515(중종 10)∼1590(선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숭의 후손, 아버지는 홍이다. 1531년(중종 26) 이연경의 딸과 결혼하여 그의 문인이 되었다. 1541년이언적과 최초의 학문적 토론을 벌였다. 1543년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한 이후 전적·수찬을 거쳐

  • 노숙인 / 露宿人 [사회/사회구조]

    정해진 주거 없이 주로 공원, 거리, 역, 버려진 건물 등을 거처로 삼아 잠을 자며 생활하는 사람. 우리나라에는 노숙인에 대한 공식적인 개념정의가 없다. 노숙인은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부각된 용어로 부랑인과 유사하게 사용되어 왔다. 노숙인은 말 그대로 일정한

  • 노안도 / 蘆雁圖 [예술·체육/회화]

    갈대와 기러기를 함께 그린 그림. 기러기는 동양의 옛 산수화에 있어 가을 경치를 대표하여 ‘소상팔경도’ 가운데 ‘평사낙안(平沙落雁)’이 포함되기도 한다. 노안도(蘆雁圖)의 노안을 노안(老安)과 같은 의미로 여겨 노후의 안락함을 기원하는 그림으로도 그렸다.

  • 노암고 / 魯庵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홍의호의 시·서(書)·제문·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5권 5책. 필사본. 이 책은 저자의 시문집인 『담녕부록(澹寧瓿錄)』 중에서 추려서 편집한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1,065수, 권4·5는 잡저로 기·서(序)·발·지(識)·

  • 노암문집 / 魯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종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50년(철종 1) 6대손 희영(熙永)의 편집을 거쳐 1931년 김주섭(金周燮)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홍경(鄭鴻慶)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종상(李鍾祥)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