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노사영언 / 魯史零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이항복이 노나라의 역사를 사류에 따라 분류하여 수록한 역사서. 30권 15책. 목판본. 이 책은 이항복이 『춘추』의 경문과 『좌씨전』을 깊이 연구하여 번잡한 내용을 빼고 『외전』에서 보완한 뒤 『노사(魯史)』 가운데의 ‘영영쇄쇄(零零瑣瑣)’한 말이

  • 노사집 / 蘆沙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기정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0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집 28권, 답문유편(答問類編) 15권, 부록 2권. 목판본. 1882(고종 19) 제자들이 문집 22권을 편집하고, 1890년 ≪답문유편≫ 15권을 완성하여 활자본으로 간행했고, 그 뒤 190

  • 노사협의회 / 勞使協議會 [사회/사회구조]

    근로자의 복지증진과 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노사대표로 구성된 협의기구. 노사협의회는 1963년에 개정된 「노동조합법」에 의해 처음으로 등장한다. 당시 「노동조합법」에서는 ‘사용자와 노동조합은 노사협조를 기하고, 산업 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노사협의회를 설치

  • 노산문집 / 老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남병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0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60년 후손 도만(道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정모(金正模)의 서문과 권말에 남시환(南始煥)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국학진흥원 도서관, 미국 U

  • 노산사지 / 蘆山祠址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벽계마을에 있는 해방 이후 이항로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시도기념물. 경기도 기념물 제43호. 원래 노산사는 이항로가 살아 있던 당시 그가 경모하던 주자(朱子)와 송시열(宋時烈)의 위패와 영정을 모셔 놓았던 사당이었으나 이항로가 죽은 후에 후손들이

  • 노산취필 / 蘆山醉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춘택(金春澤)이 지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논평집. 1책. 필사본. 『노산취필』 권두에는 자서(自序)가 있어 이 책을 쓰게 된 연유를 밝혔다. 집필한 날짜도 을미맹추(乙未孟秋)로 명기하였다. 이 책은 단권으로 이루어졌다. 모두 50항목으로 나누어졌다.

  • 노상직 / 盧相稷 [종교·철학/유학]

    1855년(철종 6)∼1931년. 일제 강점기 학자. 부친은 노호연, 부인은 하태긍의 딸이다. 성재 허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10년(융희 4) 경술국치를 당해 중국 안동현으로 가서 먼저 망명한 형 노상익과 합류하였다. 주요 저서로《동국씨족고》·《역연제강》·《고

  • 노서유고 / 魯西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윤선거의 시·서(書)·소장(疏狀)·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원집 20권, 속집 3권, 별집 1권, 부록 2권. 총 26권 13책. 목판본. 서발(序跋)이 없어 편찬·간행경위는 분명하지 않다.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원집 권1·2에 시 332수,

  • 노서유사 / 魯西遺事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윤증이 노서 윤선거(1610∼1669)의 평소 언행을 기록한 언행록. 서문과 발문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윤선거의 평상시 언행으로부터「거가(居家)」,「대인접물(待人接物)」,「출처사수(出處辭受)」,「위학방법(爲學方法)」 등에 이르기까지 항목의 분류 없이

  • 노석빈 / 盧碩賓 [종교·철학/유학]

    1639(인조 17)∼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세무, 어머니는 허국의 딸이다. 강대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79년(숙종 5)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 성균관전적, 사헌부감찰, 공조좌랑, 창평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방곡고』1권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