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노방청 / 奴房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 각 관아의 관노(官奴)들이 대기하던 곳. 1413년(태종 13) 관노들 중에서 각각 90명, 75명, 60명, 45명, 30명을 관아의 구종(丘從)으로 정하였다. 이들 관노들은 매일 노방청에 출근하여 대기하고 있다가 수령의 지시에 따라 향리(鄕吏)들의
노백린 / 盧伯麟 [정치·법제/정치]
1874년(고종 11)∼1925년. 독립운동가. 황해도 은율 출신. 1895년 경응의숙에서 보통과와 특별과를 수학하였다. 1899년 1월에는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1900년 10월에 귀국하자 당시 원수부회계국총장 민영환의 적극적인 주선으로 육군 참위에 임관되
노백헌문집 / 老柏軒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재규의 시·서(書)·잡저·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49권 25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경위나 간행연대는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557수, 권4∼26에 서(書) 603편, 권27∼
노병희 / 魯炳熹 [종교·철학/유학]
1850년(철종 1)∼1918년. 한말의 한의사·의병. 주상의 장남이다. 손자 진룡도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888년부터 1893년까지 최익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4년 영친왕 진료 후 6품 승훈랑에서 정3품 통정대부가 되었다. 무성서원회의 후 의진이 결성,
노봉문집 / 老峯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민정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4년에 간행한 시문집. 1734년(영조 10) 민정중의 조카 민진원(閔鎭遠)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재(李縡)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권1은 사부(辭賦)·시, 권2∼5는 소차(疏箚), 권6·7은 서(書)
노봉서원 / 魯峰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가산리에 있는 서원. 1724년(경종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번(柳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에 훼철되었다.
노봉서원 / 魯峰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에 있었던 서원. 1649년(인조 2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홍순복(洪順福)·최상중(崔尙重)·오정길(吳廷吉)·최온(崔溫)·최휘지(崔徽之)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7년(숙종 23)에 ‘노봉(露峰)’
노봉서원 / 魯峰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하석리에 있었던 서원. 1615년(광해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인수(宋麟壽)와 정렴(鄭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8년(현종 9)에 사액되었으며, 1695년(숙종 21) 송시열(宋時烈)을 추가배향
노봉집 / 蘆峯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63년(철종 14) 김정(金人+政)의 현손인 종걸(宗杰)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종걸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노부 / 鹵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왕실의 의장제도. 조회·연회 등의 궁정 행사와 제향, 능행 등의 외부 행차 때 위엄을 과시하기 위해 동원된 각종 의장 물품과 그 편성 및 운용 제도를 통칭한다. 의장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보통 궁정에서는 의장, 행차 때에는 노부라 지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