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노량진 / 鷺梁津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었던 나루터. 노량진(露梁津)·노도진(露渡津)·노량진도(鷺梁津渡)·노들나루라고도 불리었다. 이 나루는 서울과 과천·시흥을 연결해주는 구실을 하였는데, 조선시대 9대 간선로 중에서 충청도와 전라도 방면으로 향하는 제6·7·8호 간선로의 길목

  • 노력도 / 老力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에 속하는 섬. 덕도(德島) 남쪽 0.6㎞ 지점에 있으며, 진목리 해안에서 약 1.4㎞ 떨어져 있다. 동경 126°55′, 북위 34°25′에 위치한다. 면적은 0.84㎢, 해안선 길이는 7㎞이다. 과거에는 정기여객선이 운항되지 않고 개인 배를 이

  • 노령 / 蘆嶺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정읍시 입암면과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276m. 지명의 기원은, 전설에 의하면 기생 노아(蘆兒)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옛날부터 노령산맥을 가로질러 호남평야와 전남평야를 잇는 주요교통로 구실을 하였다. 현재는 호남선철도와 호남고속도로

  • 노령노래 [문학/구비문학]

    함경도 지방의 민요. 러시아영토로 생업을 위하여 떠나가는 실정을 노래한 근대의 민요이다. 지난날 함경도 지방의 남자들은 삶이 어려워서 러시아 지방으로 흔히 품팔이를 나갔는데, 그 사설 속에는 참담하고 절박한 실정이 절실하게 배어 있다. 곧 생활을 개척하기 위하여 가족과

  • 노령산맥 / 蘆嶺山脈 [지리/자연지리]

    소백산맥(小白山脈)의 추풍령(秋風嶺) 부근에서 갈라져 남서방향 뻗은 산맥. 길이 약 200㎞의 구릉성 산지이다. 산맥 내에는 대둔산도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 무주구천동계곡, 내장산국립공원, 모악산과 마이산도립공원 등 천혜의 자연경관과 모악산의 금산사(金山寺)·내장사·백

  • 노로재문집 / 魯魯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만휴(1625∼1694)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8년 김만휴의 9대손 도원(道源)과 덕원(悳源) 등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허전(許傳)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덕원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권2는 서(書)·잡저

  • 노림서원 / 魯林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에 있었던 서원. 1649년(인조 27) 지방유림의 공의로 남치리(南致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원

  • 노무편 / 老巫篇 [종교·철학/민간신앙]

    고려후기 문신 이규보가 조정의 음사금지령으로 개성에서 무당이 추방당하는 것을 보고 지은 시. 그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의 집근처에 살던 늙은 무당이 조정의 음사금지령(淫祠禁止令)에 의해 개성에서 추방당하는 것을 보고 기뻐하며 지

  • 노문식례 / 路文式例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비변사에서 노문(路文)에 관한 세부 사항을 규정한 관찬서. 「비변사노문변통절목(備邊司路文變通節目)」과 「규장각노문절목(奎章閣路文節目)」을 합편하여 간행한 책이다. 노문 제도는 관원의 역로 이용의 남잡(濫雜)을 방지하기 위하여 1762년(영조 38) 홍봉한(洪

  • 노박집람 / 老朴集覽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어려운 어구와 고유명사 등을 뽑아 설명한 책. 1책. 을해자본. 이 책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으므로 언제 간행되었는지 정확하지 않으나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의 관계, 『사성통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