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신수도 / 新樹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사천시 신수동에 있는 섬. 동경 128°04′, 북위 34°54′에 위치하며, 사천시에서 남쪽으로 약 2㎞ 지점에 있다. 면적은 1.01㎢이고, 해안선 길이는 9.3㎞이다.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411명(남 203명,
신시도 / 新侍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에 있었던 섬. 동경 128°34′, 북위 35°47′에 위치한다. 김제의 진봉반도(進鳳半島)에서 서쪽으로 30㎞ 지점에 있는 고군산군도(古群山群島)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이었다. 군산으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26㎞ 지점에 있다. 면적은 4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 新安─凝灰岩─火山性構造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내월리 작은대섬에 위치한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2011년 1월 13일에 천연기념물 제525호로 지정되었다.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남서쪽에 위치한 작은대섬에 있는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등의 지질구조로 지정 면적은 8,421㎡이다. 작은대섬은 다도해
신지도 / 薪智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에 있는 섬. 동경 126°53′, 북위 34°25′에 위치하며, 완도에서 동쪽으로 5㎞, 고금도에서 남쪽으로 1㎞ 지점에 있다. 면적은 30.99㎢이고, 해안선 길이는 48.0㎞이다. 신지면에는 신지도와 모항도 2개의 유인도가 있는데, 모항도의
신진도 / 新津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신진도리에 속하던 섬. 동경 126°09′, 북위 36°41′에 위치하며, 정죽반도(程竹半島)의 끝에 있다. 군으로부터 40㎞, 근흥면으로부터는 1㎞ 지점에 있다. 면적은 1.678㎢이고, 해안선 길이는 7㎞이다. 현재는 1995년에 개통한 신진
십이폭포 / 十二瀑布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서면 월비산리에 있는 폭포. 높이 289m, 너비 4m. 채하봉(彩霞峰, 1,588m)·소반덕(1,482m) 사이의 골짜기에서 흘러온 물이 채하봉 남쪽 벼랑을 타고 층층으로 떨어지면서 이루어진 것이다. 구룡폭포(九龍瀑布)·조양폭포(朝陽瀑布)·비봉폭포(飛鳳
쌍계사차나무시배지 / 雙磎寺茶─始培地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차나무시배지. 경상남도 기념물 제61호. 이곳은 신라 흥덕왕 3년(828)에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김대렴(金大廉)이 신라로 돌아올 때 가져온 차나무의 종자를 왕명에 의하여 심은 곳이라 전해지고 있다. 그때 지리산 일대에 심어졌다고
쌍룡굴 / 雙龍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에 있는 용암동굴. 길이 393m. 제주도 순환도로변의 높이 30m 지점에 위치한 동굴로, 협재굴·황금굴과 함께 천연기념물 제236호인 제주도용암동굴지대에 속한다. 여러 갈래의 가지굴을 이루면서 형성된 동굴로 대체로 세 갈래의 수평동굴
아득령 / 牙得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공북면과 함경남도 장진군 장진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1,479m. 낭림산맥 북단의 사랑봉(舍廊峰, 1,573m)과 맹부산(孟扶山, 2,214m) 사이의 안부(鞍部)에 해당한다. 동서방향의 고개로 동은 개마고원에 접하고 서는 개마고원보다는 고도가 낮
아부오름 / 아부오름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에 소재하는 분석구. 아부오름이 소재하는 구좌읍 송당 일대의 동부 중산간지역은 다랑쉬오름·아끈다랑쉬오름·손자봉·용눈이오름·높은오름·동거문오름·새미오름·안돌오름·밖돌오름 등 제주도에서 오름이 가장 높은 밀도로 분포하는 대표적인 오름지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