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노동운동 / 勞動運動 [사회/사회구조]
노동자들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안정 또는 향상시키려는 운동. 우리 나라의 근대적인 노동운동은 개항 이후 외세의 침입에 따른 자본주의화 과정에서 근대적 임금노동자층이 형성되면서 비롯되었다. 노동운동의 주체도 시기에 따라 다양한 노동자로 바뀌었고, 현재는 다양한 노조가
노동자 / 勞動者 [사회/사회구조]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받은 임금으로 살아가는 사람. 우리 사회에서 근대적 임금노동자의 기원을 18-19세기 무렵의 전자본주의적 생산체계내에 존재하였던 농업의 고공(雇工, 머슴)과 임용사공(賃用私工), 광업의 용인(傭人) 및 수공업의 모작배(募作輩) 등에서
노동자문화예술운동연합 / 勞動者文化藝術運動聯合 [사회/사회구조]
1989년 9월 결성된 노동자문화운동 단체. 한국 노동자 문화운동은 1980년대 학생운동 내의 문예서클 출신자들이 주도했다. 이들은 사회변혁운동은 노동운동의 발전을 통해 가능하다는 인식을 갖고 직접 노동현장에 취업하거나, 산업중심지나 주요 도시에 전문노동문화단체를 만들
노동절 / 勞動節 [사회/사회구조]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 제정된 휴일. 근로자의 연대와 단결된 힘을 보이고 노고를 위로하고 사기, 권익, 복지를 향상시키며 근로의욕을 더욱 높이자는 뜻에서 제정된 휴일로서 매년 5월 1일에 기념한다.
노동조합 / 勞動組合 [사회/사회구조]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근로조건의 유지, 개선 및 기타 근로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단체 또는 그 연합단체. 노동조합은 근대 자본주의사회의 고유한 노동자 조직이다. 근대 자본주의사회가 형성되기 이전의 사회에도 노동자들의 조직은
노랄수사 / 老辣隨辭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이귀가 인조반정 전반에 걸친내용을 수록한 문집. 1651년(효종 2) 안방준(安邦俊)이 편집하였다. 권수에 안방준의 서문이 있다. 권1은 평거언행(平居言行)·반정시사(反正時事)·치역논변(治逆論辨), 권2는 추숭논변(追崇論辨)·편당논변(偏黨論辨),
노랑팽나무 / Celtis edulis NAKAI. [과학/식물]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강원도의 태기산과 함경북도의 명천군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이며 작은 나뭇가지는 붉은 갈색 또는 밤색이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길이 5∼9㎝, 너비 3∼7㎝로서 밑부분은 찌그러진 원저(圓底
노래 [문학/고전시가]
곡조를 붙여 부르는 소리나 말, 또는 글. 중세 국어자료가 보여주는 바로는 ‘노래’는 그 당시 ‘놀애’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놀다[遊]’라는 말에서 파생된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므로 노래는 오락성 또는 연희(演戱)의 성격을 명칭 자체에 이미 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노량 / 露梁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문의리에 있는 나루터. 현재 남해대교가 놓여 있는 부근 일대를 말한다. 이곳은 예로부터 하동군 금남면과 남해군 설천면 사이를 잇는 나루터로 발달한 곳이며, 국립공원인 한려수도의 일부를 이루면서 여객선과 어선의 왕래가 많은 곳이다. 특히 임진왜란
노량대교 / 鷺梁大橋 [경제·산업/교통]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과 동작동 사이의 한강 남안을 따라 건설된 다리.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를 원활히 치르기 위하여 한강종합개발계획의 하나로 행주대교와 올림픽경기장 사이에 한강을 따라 올림픽대로상에 건설한 다리이다. 1987년에 구교가 완공되었고, 1993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