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노덕규 / 盧德奎 [종교·철학/유학]
1803(순조 3)∼1869(고종 6). 조선후기 학자. 아버지는 계선, 어머니는 진양 강씨이다. 족숙이었던 노후식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며 학업에 열중하여 갑오년(1834)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성학십도발휘>,<하산문헌내편>,<동국문헌외편>,<예설류집> 등을 저술,
노덕서원 / 老德書院 [종교·철학/유학]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에 있던 서원. 1627년(인조 5) 지방유림의 공론으로 이항복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6년에는 이곳에 유배된 바 있었던 김덕성과 정홍익을 추가 배향, 1687년(숙종 13)에 ‘노덕’이라고 사액되었다. 169
노동 / 勞動 [사회/사회구조]
사람이 생존·생활을 위하여 특정한 대상에게 육체적·정신적으로 행하는 활동. 인간은 존재 자체로부터 생존수단의 획득이 필연적이므로 어떠한 사회에서도 노동은 필요하다. 다만, 자연 그대로의 노동대상을 상대로 노동할 수도 있고, 기존의 노동의 산물인 원료·원자재를 대상으로
노동 / 勞動 [사회/사회구조]
사람이 생존·생활을 위하여 특정한 대상에게 육체적·정신적으로 행하는 활동을 가리키는 사회용어. 인간은 존재 자체로부터 생존수단의 획득이 필연적이므로 어떠한 사회에서도 노동은 필요하다. 다만, 자연 그대로의 노동대상을 상대로 노동할 수도 있고, 기존의 노동의 산물인 원료
노동동굴 / 蘆洞洞屈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노동리에 있는 석회동굴. 이 동굴은 지하수의 침투로 이루어진 공동(空洞)이 확장되면서 천장이 낙반(落盤)주 01)하여 커다란 광장을 이루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손꼽는 대형 수직동굴 가운데 하나이다. 수직벽 바닥에는 화석화되어가는 뼈무덤·뼈무리,
노동서원 / 魯洞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황보리에 있었던 서원. 816년(순조 1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노동시간 / 勞動時間 [사회/사회구조]
노동자가 사용자에게 고용되어서 노동하는 시간. 노동시간은 1일·1주·1년 중 어느 것을 단위로 하느냐에 따라 노동일(勞動日)·노동주(勞動週) 그리고 노동년(勞動年) 등으로 불린다. 하루를 단위로 하여 노동시간 수를 나타낼 때에는 노동일이라고 부르는데, 이를테면 하루의
노동시장 / 勞動市場 [사회/사회구조]
노동자와 사용자가 만나 경쟁관계를 통하여 양자간의 관계가 결정되는 과정 또는 그 영역. 우리나라에서 생산자를 생산수단으로부터 분리시킨 계기는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이었다. 이 사업은 지주에게 배타적 사유권이 법으로 인정된 반면, 이전에 소작인이 가지고 있던 관습상의 경작권
노동야학독본 / 勞動夜學讀本 [교육/교육]
1908년 유길준이 노동자와 민중을 계몽하기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국어학습용교과서. 50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에서는 사람(人)을 바탕으로 하여 나의 도리와 의무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그러면서 노동의 정의를 설명하고, ‘노동 연설’이라 하여 노동자
노동요 [문학/구비문학]
노동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노동요는 의식요나 유희요와 함께 일정한 생활상의 기능을 가진 기능요에 속하며, 기능요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민요는 원래 노동요에서 시작된 다음 다른 기능요로 전용되고, 일정한 생활상의 기능을 가지지 않은 비기능요로 바뀌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