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노계서원 / 蘆溪書院 [교육/교육]
평안남도 평양시(현재의 평양특별시)에 있었던 서원. 자세한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중기에 창건된 것으로 보이며, 조삼성(曺三省)·양덕록(楊德祿)·정민(鄭旻) 등의 위패가 봉안되었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다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
노계정 / 盧啓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695∼1755). 1725년 무과에 급제하여 김취로의 천거로 수문장이 되었다. 이후 훈련주부·도총부도사를 거쳐 박천군수를 지내면서 군기를 정비하고, 보자고를 설치하였으며, 족징을 막는 등 이용후생에 힘썼으나 자주 탄핵당하였다.
노계집 / 蘆溪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9.5×18.7cm이고, 반곽은 21.2×14.8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노계집(蘆溪集)이다. 김재현(金載顯)이 지었고, 서문(序文)은 丙子(1936)에
노고단 / 老姑壇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토지면에 걸쳐 있는 산 봉우리. 지리산 등산로 중 노고단은 심원계곡과 화엄사계곡을 통한 서쪽 입구가 되며, 노고단산장은 등산객의 휴식처 및 숙박 장소가 된다. 서남향의 안부에 위치하는 노고단 제1·2산장 주변은 약 4천여 평에 이르는 거의 평지
노고산성 / 老姑山城 [예술·체육/건축]
대전광역시 동구 피골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석축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둘레 약 300m.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19호.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대덕군 내남면, 고성(姑城)이라 칭함. 대전의 북동 약 1.5리의 산위에 있는 석루(石壘)로서 주위
노곡만영 / 老谷謾詠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같은 마을에 살던 양씨(梁氏)·박씨 두 집안의 유고를 모아 엮은 문집. 불분권 10책. 필사본. 『노곡만영』 권두에 이윤묵(李允默)의 서문과 권말에 양대의(梁大宜)·박이호(朴履鎬)의 발문이 있다. 이 책은 작가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고 시체별(詩體別)로 분
노공필 / 盧公弼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16(중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물재, 아버지는 사신, 어머니는 경유근의 딸이다. 1466년 춘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 성균관직강, 공조판서, 경기도관찰사, 의정부우참찬, 영돈녕부사, 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514년 영
노긍 / 盧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38∼1790). 과시에서 명성을 떨쳐 호서지방 사류들의 추앙을 받았으나, 과거시험장에서 글을 파는 등 사풍을 어지럽힌 죄로 위원으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다. 작품으로 한문소설〈화사〉가 있다.
노기 마레스케 / 乃木希典 [정치·법제/외교]
1849-1912. 근대 일본의 육군 군인. 러일전쟁의 지휘관. 1876년 아키쓰키의 난을 진압했고, 1877년 세이난 전쟁 때는 구마모토 성 입성을 위해 사이고 다카모리 군과 격전을 벌인 끝에 연대기를 빼앗겼다. 청일전쟁때는 보병 제1여단장으로 출진하였다. 1904년
노기남 / 盧基南 [종교·철학/천주교]
1901-1984. 최초의 한국인 가톨릭 주교. 세례명은 바오로. 평안남도 중화군 출생. 부모가 모두 독실한 천주교신자였다. 1930년 신품성사를 받고 신부가 되어, 종현성당(현재 명동성당)의 보좌신부로 사제생활을 시작했다. 1942년 12월, 주교 성성식을 갖고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