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노가재집 / 老稼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창업의 시 「춘일감회」·「기각산사승병서」등을 수록하여 1820년에 간행한 시집. 5권 3책. 목활자본. 족질 시보(時保)가 편집하여 둔 것을, 1820년(순조 20) 현손 조순(祖淳)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순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시보의 발문이 있

  • 노각나무 / Stewartia koreana NAKAI. [과학/식물]

    차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한자어로는 금수목(錦繡木)이라 하며, 학명은 Stewartia koreana NAKAI.이다. 우리나라의 특산으로 경상북도와 충청북도 이남의 표고 200∼1,200m에 자생하며, 나무높이는 7∼15m에 달한다. 수피(樹皮)가 비단같이 아

  • 노간주나무 / Juniperus rigida S. et Z. [과학/식물]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의 소교목.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 흔한 송백류식물(松柏類植物)의 일종이다. 잎은 바늘꼴이며 한 마디에서 3개씩 돌려나고, 꽃은 암수 한 그루에 붙으며 암꽃송이와 숫꽃송이는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붙는다. 열매는 육질로 된 구과(毬果: 방울열

  • 노강서원 / 老江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에 있는 서원. 1712년(숙종 3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권상하(權尙夏)·한원진(韓元震)·윤봉구(尹鳳九)·송환기(宋煥箕)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 노강서원 / 魯岡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오강리에 있는 서원. 1675년(숙종 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윤황(尹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2년(숙종 8)에 ‘노강(魯岡)’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윤문거(尹文擧)를 추가 배향하였다

  • 노강서원 / 鷺江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숙종 15년의 민비(閔妃) 폐출 때 죽음으로써 이를 충간(忠諫)하였던 박태보(朴泰輔)를 기리기 위해 노량진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7년에 조윤벽(趙潤璧) 등의 청액소(請額疏)로

  • 노걸대 / 老乞大 [교육]

    한학에 관한 서적으로 조선시대의 역학서. 노걸대는 몽어로 ‘LabKida’로서 ‘대지나’·‘참된 중국인’이라는 뜻이다. 본서의 내용은 고려의 상인 한 사람이 압록강을 건너 북경까지 가는 노정 및 산동지방을 여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여러 가지 일들을 중국인과 대화하는

  • 노걸대언해 / 老乞大諺解 [언어/언어/문자]

    고려시대부터 전해온 중국어 학습서인 『노걸대』 언해서. 사절의 왕래나 상인의 교역에 필요한 중국어 회화책이다. 작자와 간행연대는 미상이나 『통문관지(通文館志)』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 현종 때 정상국(鄭相國)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책은 이에 앞서 간행된 최세진(崔世珍)

  • 노경임 / 盧景任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수성, 어머니는 장열의 딸이다. 장현광과 유성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91년(선조 2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을 거쳐 홍문관정자가 되었다. 그후 지영해부사, 성주목사 등을 역임

  • 노계가 / 盧溪歌 [문학/고전시가]

    1636년(인조 14)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형식은 4음(音) 4보격(步格) 무한연속체라는 가사의 율격을 대체로 지켰으나, 2음보를 추가하여 6음보로 늘어난 행이 상당수 보인다. 서술양식은 1인칭 독백체로 작자의 주관적 감회와 체험을 노래하는 서정적 양식을 취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