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신계곡산용암대지 / 新溪谷山熔巖臺地 [지리/자연지리]

    황해북도 신계군에서 곡산군, 수안군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현무암 용암대지. 신계곡산용암대지의 면적은 420㎢, 평균 높이는 200m이며, 길이(곡산∼평산)는 50㎞이며, 예성강 하곡을 따라 금천군에까지 이른다. 대부분의 지역이 200∼300m 사이의 높이를 가지는 평탄

  • 신계분지 / 新溪盆地 [지리/자연지리]

    황해북도 신계군 신계읍 주변에 있는 분지. 신계분지의 면적은 530㎢이며, 동서 길이는 약 12㎞이다. 북쪽에는 대굴산(大窟山, 434m)·감적산(甘積山, 388m)·춘광산(春光山, 522m)으로 이어지는 멸악산맥(滅惡山脈)에 딸린 산들이 솟아 있고, 북쪽으로 곡산 분

  • 신도 / 信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신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27′, 북위 37°32′에 위치한다. 인천에서 서쪽으로 14.8㎞, 강화도에서 남쪽으로 5㎞ 지점에 있다. 남쪽에 위치한 영종도와 마주하며, 서쪽의 시도(矢島)와는 1992년에 건설된 연도교(길이 579m)를

  • 신도 / 薪島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용천군 신도면에 속하는 섬. 용암포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17㎞ 떨어져있으며, 압록강 하구로부터 약 12㎞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 6.77㎢, 해안선길이 15㎞이다. 일명 장자도(獐子島)라고도 한다. 압록강은 토사의 운반과 퇴적이 왕성하여 하구부근에

  • 신도 / 身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 척치리에 있는 섬. 동경 127°03′, 북위 34°23′에 위치하며, 평일도(平日島)와 금당도(金塘島) 사이에 있다. 완도읍에서 북동쪽으로 약 20㎞ 지점에 있다. 면적은 1.0㎢이고, 해안선 길이는 5.0㎞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3

  • 신도군 / 薪島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서쪽 끝 압록강 하구에 있는 군. 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동쪽은 황해를 사이에 두고 용천군과 마주하고 있고,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의 동북부 지방과 인접해 있다. 용천군은 1952년 12월 행정구역개편 때 군의 용암포면ㆍ북중면ㆍ양하면ㆍ양서면ㆍ동하면

  • 신동천 / 新洞川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벽동군 벽동면과 권회면을 흘러 수풍호로 흘드는 하천. 양령과 단풍덕산을 기원으로 하는 하천으로서 항상 많은 물이 흐르고 있다. 1936년까지는 대덕산 아래에서 벽동천으로 흘러드는 지류였으나 수풍수력발전댐의 만수로 지금은 영풍리에서 수풍호로 흘러든다. 신동천변은

  • 신미도 / 身彌島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선천군 남면에 속하는 섬. 면적은 54.8㎢이고 해안선 길이는 85㎞이다. 육지와는 불과 2㎞ 정도 떨어져 있어 겨울 썰물 때, 해면이 결빙되면 도보로 내왕이 가능하다. 우리 나라에서 12번째로 크며, 서한만 내에서는 제일 큰 섬이다. 섬의 모양은 동북에서 서

  • 신불산 / 神佛山 [지리/자연지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과 상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09m. 이 일대는 경상남도의 동북부를 차지하는 산지 지대로 태백산맥의 여맥에 해당하여 주위에는 1,000m 내외의 높은 산지가 많다. 북쪽으로부터 고헌산(高獻山, 1,033m)·가지산(加智山, 1,240m

  • 신불산 고산습지 / 神佛山高山濕地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대리 신불산에 위치한 소택지. 신불산 고산습지는 신불산 고위평탄면에 발달한 소택지이다. 습지에는 이탄층이 발달되어 있어 정화 기능이 뛰어나고,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 습지는 2002년 8월에 양산 녹색연합에 의해 발견된 이후 2004년에 국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