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내서사인 / 內書舍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공민왕 때 도첨의부의 종4품 관직. 문종 때 관제에서 중서문하성의 중서사인이 1298년(충렬왕 24)에 일시 즉위한 충선왕의 관제개혁에서 도첨의사인(都僉議舍人)으로 개칭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가 중서문하성으로 환원됨에 따라 다시 중
내섬시 / 內贍寺 [정치·법제]
조선시대 각 궁과 전에 대한 공상과 2품 이상 관리에게 주는 술, 왜인과 야인에 대한 음식물 공급, 직조 등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공주를 낳은 왕비의 권초를 봉안하기도 하였다. 관원으로 제조·정(정3품)·부정(종3품)·첨정(종4품)·판관(종5품)·주부(종6품
내성 / 奈城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봉화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충혜왕 때 이곳 사람 강금강(姜金剛)이 원조(元朝)에서 공이 있었다 하여 현으로 승격할 때 내성으로 개칭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안동부의 임내(속현)가 되었고, 1906년 봉화군 내성면으로 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내성면(
내성지 / 奈城誌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김수민(金壽民)이 지은 한문소설. 몽유록(夢遊錄)계 작품으로, 작자의 문집인 『명은집(明隱集)』 권18에 수록되어 있다. 주제의식면에서는 춘추대의의 명분론에 입각하여 단종의 일을 재평가하면서, 한때나마 명분에 어그러진 시세는 결국 유교적 합리성으로 되돌아갈
내성천 / 乃城川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오전리의 선달산(1,236m)에서 발원하여 남류 및 남서류하여 영주시, 예천군을 지나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에서 낙동강에 합류하는 하천. 내성천의 상류는 벼의 재배가 활발하지 못하고 주로 조·옥수수·두류·감자와 유채작물(참깨·들깨·고추·인삼), 그
내소사삼층석탑 / 來蘇寺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에 있는 고려시대 3층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판형(板形)의 지대석을 마련하고 그 위에 2중기단을 세웠다. 낮은 하층 기단은 저석과 중석을 하나의 돌로 하여 새겼는데 4매의 돌을 엮어 구성하였다.하층 기단
내소사설선당과요사 / 來蘇寺說禪堂─寮舍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청민대사가 중건한 사찰건물.요사. 시도유형문화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633)에 혜구(惠丘)가 창건한 후 1633년(인조 11) 청민대사(淸旻大師)에 의해 중건되었으며, 그 후에
내소사일원 / 來蘇寺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있는 내소사 일대의 경승지. 전라북도 기념물 제78호. 지정면적 16,725㎡. 변산반도 국립공원에 속하는 지역으로 부안읍에서 서남쪽으로 약 30㎞에 있다. 옛날에는 선계사(仙溪寺)·실상사(實相寺)·청림사(靑林寺)·내소사의 4대 사찰이
내소주방 / 內燒廚房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왕과 왕비의 수라를 마련하는 곳. 방과 창으로 구성된 몸채가 있고, 이를 청, 방, 부엌, 곳간으로 구성된 행랑이 둘러싸고 있다. 주방 나인들이 왕과 왕비의 수라를 장만하는 곳으로 화재의 우려가 있어 왕의 침전과 떨어진 곳에 설치하였다. 일상식을 장만하는
내수도문 / 內修道文 [교육/교육]
1899년 동학의 제2대 교주 최시형이 여성교인의 생활규범을 기도문 형식으로 작성한 천도교서. 기도문. 최시형은 오랜 잠행생활을 통하여 당시 대부분의 여성에게 과해졌던 차별대우에 대하여 느낀 바 있어, 여성의 자각과 인간회복을 이루고자 하는 일상적인 실천사항을 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