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내군 / 內軍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의장과 병기류를 관장하던 관서. 918년(태조 1)에 내군경(內軍卿)을 두었다. 태조 때의 내군은 태조가 즉위한 직후의 인사내용에 내군의 차관직인 경으로 능혜(能惠)와 희필(羲弼)이 기재되어 있다. 이 때의 군사 및 감찰관부에 순군부(徇軍部)·병부·의형대(義刑

  • 내궁전고 / 內弓箭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궁중에서 소요되는 활과 화살을 제작, 보관하던 관서. 문종 때 관제를 정리하면서 관원으로 판관 2인을 두었고, 이속으로 기사(記事) 2인과 기관(記官) 2인을 배치하였다.

  • 내금강전나무림 / 內金剛─林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는 전나무숲. 북한 천연기념물 제458호. 전나무숲은 내금강 마을을 지나 표훈사까지 가는 길 주변에 퍼져 있다. 토양은 화강편마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며 메흙으로서 토양수분이 많다. 130㏊를 보호구역으로 정하였다. 제일

  • 내금위 / 內禁衛 [정치·법제/국방]

    조선 1407년(태종 7)에 임금의 호위와 궁중을 지키기 위해 설치된 군대 조직. 유명 무실한 궁중 숙위를 담당했던 내상직(內上直)을 정리, 개편하여 조직한 왕의 친위군 혹은 금군이다.

  • 내금위장 / 內禁衛將 [정치·법제/국방]

    내금위에 소속된 종2품 관직. 정원은 3인이고 타관이 겸하였다. 세조 3년(1457) 내금위절제사 6인을 두어 내금위장이라 하고 그 대우를 오위장과 같이 하여, 매번마다 2장씩 궁중에 직숙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완전히 시행되지는 않은 듯 하며, 세조 5년(145

  • 내금위취재 / 內禁衛取才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무관 채용시험. 정예근위부대의 하나였던 내금위의 군관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이다. 병조에서 도총부·훈련원의 당상관 각 1인과 함께 시험을 보아 선발하였다. 내금위에 결원이 있을 때마다 수시로 행하였다. 시험과목은 목전·철전·기사와 기창의 기술이었다.

  • 내급사 / 內給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중성의 종6품 벼슬. 정원은 1인이었다. 전중성은 종정시(宗正寺)와 함께 종부시(宗簿寺)의 전신으로 종친의 보첩을 맡고 있던 관아였다. 문종 이후에 전중시(殿中寺)로 고쳤다가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이 선위를 받아 관제를 개혁할 때 종정시로 고쳤다.그

  • 내나로도 / 內羅老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고흥군 동일면에 속하는 섬. 외나로도와 함께 봉래면(蓬萊面)을 이루다가 1964년봉래면 내도출장소(內島出張所)가 설치되었고, 1990년 7월 1일로 면으로 승격, 동일면으로 행정구역명이 정해졌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육지와의 교통편은 배를 이용해야 했으나 1

  • 내노비 / 內奴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수사 및 각 궁 소속의 노비. 왕실의 노비라는 뜻에서 궁노비라고도 하였다. 원래 본궁노비라 부르던 것을 1471년(성종 2)부터 내수사 노비라고 부르게 하였다. 이로써 일반적으로 내노비라 하면 내수사 노비를 가리킨다. 이는 궁중에서 쓰는 미곡·포목·잡화와

  • 내농포 / 內農圃 [생활/식생활]

    조선시대 환관들이 궁중납품을 목적으로 채소를 재배하던 밭, 또는 그 관서. 창덕궁 돈화문 밖 동편에 있었다. 본래 서울 성내에서는 농사가 금지되어 있었으나, 내농포는 궁중납품이라는 특수성으로 하여 채소재배가 허용된 것이다. 이 밖에 채소운반을 위한 마필이 부여되었고,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