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숭적산 / 崇積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화경면과 위원군 숭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994m. 적유령 산맥의 주봉 중 하나로 일명 저인봉(儲人峰)이라고도 부른다. 동쪽의 백암산(白巖山, 1,823m)·천불봉(天佛峰, 1,639m) 등과 함께 하나의 커다란 산지를 이루고 있는데, 산세를
슬봉 / 瑟峰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회령군 창두면과 부령군 부거면·부령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48m. 함경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동북쪽에 조두령(趙斗嶺)·백사봉(白沙峰)·어석산(於石山)·돈수덕산(敦水德山)으로 이어지며, 남쪽으로 토성봉(土城峰)·수리봉(修理峰)·선령(仙嶺)·연대봉(烟臺峰)
승봉도 / 昇鳳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승봉리에 있는 섬. 동경 126°18′, 북위 37°10′에 위치하며, 인천에서 남서쪽으로 39.8㎞ 지점에 있다. 면적은 6.39㎢이고, 해안선 길이는 9.5㎞이다. 북쪽으로는 자월도, 서쪽으로는 대이작도를 마주한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
승주호 / 昇州湖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송광면과 보성군 문덕면에 걸쳐 있는 호수. 유역 면적은 1,144.6㎢로서 저수용량은 총 5억 7백만㎦이고 홍수조절용량이 8천만㎦에 이른다. 승주호는 발전과 홍수조절은 물론 광주광역시를 비롯하여 여수·순천·광양 등 호남 일원의 용수난을 해결하기
시도 / 矢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시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26′, 북위 37°33′에 위치하며, 인천에서 서북쪽으로 18.8㎞ 지점에 있다. 북도면의 주도로서 면사무소가 자리하고 있다. 동쪽으로 신도가 위치하고 서쪽으로 모도와 마주하고 있는데, 이들 두 섬과는 각각 연
시산도 / 詩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에 있는 섬. 동경 127°16′, 북위 34°23′에 위치한다. 고흥반도의 서쪽 해안에서 9.7㎞, 거금도(居金島)에서 동남쪽으로 4㎞ 지점에 있다. 마치 월경지처럼 도양읍에서 금산면을 넘어서는 먼 해상에 떨어져 있다. 풍양면 시산출장소
시중호 / 侍中湖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통천군 강동리와 송전면 송전리에 걸쳐 있는 호수. 넓이 2.36㎢, 둘레 15㎞, 수심 3.4m이다. 그리고, 호수의 가운데는 조그만 장고섬이 있다. 호수는 본래 작은 만이었으나 연안류와 바람의 작용에 의하여 만 앞이 모래로 막히면서 만들어진 호수이다. 호수는
식도 / 食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식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20′, 북위 35°35′에 위치한다. 부안군 산내면 해안에서 서쪽으로 15.7㎞, 위도(蝟島)에서 북쪽으로 1㎞ 지점에 있다. 면적은 0.92㎢이고, 해안선 길이는 7.5㎞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22
식산봉의 황근 자생지 및 상록활엽수림 / 食山峯─黃槿自生地─常綠闊葉樹林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에 있는 황근자생지 및 상록활엽수림.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47호. 식인봉은 화산의 분출에 의해서 형성된 규모가 비교적 작은 오름[岳]으로서 과거 제주도 동쪽 낮은 지대의 원 식생이 회복될 것으로 보이는 유일한 곳으로 여겨지고 있다
식장산 / 食藏山 [지리/자연지리]
대전광역시 동구 대성동에 있는 산. 높이 598m. 이 지점은 옥천에서 대전평야로 넘어오는 곳으로 노령산맥의 지맥들이 연립하여 산악지대를 이루는 지역의 주요한 길목이다. 식장산의 험난한 지형은 자연의 요새지로 백제 때뿐만 아니라 6·25 때에는 연합군과 괴뢰군의 격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