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해선구줄끗기 / 南海仙區─ [생활/민속]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선구리의 선구마을에서 행해지는 민속놀이. 남해선구줄끗기는 2015년 12월 2일 유네스코 제10차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우리나라의 기타 줄다리기 5건(당진기지시줄다리기, 영산줄다리기, 삼척기줄다리기, 감내게줄당기기, 의령큰줄땡기기) 및 베트남,
남해안별신굿 / 南海岸別神─ [종교·철학/민간신앙]
남해안지역에 전승되는 마을굿.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도를 중심으로 하여 한산도·사량도·갈도 등의 남해안지역에서 행하여지는 마을굿이다. 어민들의 풍어(豐漁)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의로, 보통 3년에 한번씩 굿을 벌인다. 별신굿의 ‘별신’은
남해안석사놀이 / 南海岸石射놀이 [생활/민속]
경상남도 남해안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행해지는 민속놀이. 경상남도 남해안의 도서지역이나 해안가에서 추석 때 돌을 던져 나무를 맞추는 놀이로서, 석전(石箭)이라고도 한다. 석사놀이는 돌을 던져 목표물을 맞히는 방식이므로, 석전(石戰)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남해장성 / 南海長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이후 방어용으로 축조된 성곽.시도기념물. 경상남도 기념물 제154호. 축성의 길이가 총 15㎞에 달하는 성으로, 전답이나 대지 주변의 성지는 거의 훼손되어 원래의 모습은 찾기 어려우나, 임야 속의 성벽 약 8.7㎞는 상태가 양호
남해제2지선고속도로 / 南海第二支線高速道路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김해시와 부산광역시 사상구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1975∼1977년 사이에 타당성 조사와 실시설계를 한 뒤 1978년 5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1981년 9월에 개통되었다. 총연장은 20.6㎞, 노폭은 23.4m로 4차선이며 부산광역시·김해시·창원시를 지난다.
남해죽전비자나무 / 南海竹田─ [과학/식물]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당항리에 있는 비자나무. 경상남도 기념물 제200호. 나무의 높이는 18m이고, 나무의 나이는 600년으로 추정된다. 가슴높이줄기둘레는 7m이고, 가지의 길이는 동쪽 12m, 서쪽 14m, 남쪽 9.5m, 북쪽 10.2m이다. 상록침엽대교목인 비자
남해향교 / 南海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북변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 1669년(현종 10) 10월 대성전을 중수하고 1678년(숙종 4) 명륜당(明倫堂)을 중수하였으며, 1892년(고종 2
남행월일기 / 南行月日記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전주지방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 「남월행일기」는 작자 이규보의 수필적 인식에서 기필(起筆)한 기행문으로서 노정의 제시, 정경의 묘사, 지방색의 표현, 다양한 제재, 감흥의 표출 등 기행수필로서의 내용적·형식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남헌유집 / 楠軒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성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20년경 8세손 동규(東奎)가 편집,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안술연(安珬淵)의 소서(小序)와 이현구(李賢求)·김병현(金
남현로 / 南玄老 [종교·철학/유학]
1729∼ ? (영조 5∼?) 저자는 1729년(영조 5)에 태어나 1754년(영조 30)에 진사시에 합격, 1756(영조 32) 문과에 합격하였다. 사마방목에 따르면 서울 거주자로 기재되어 있으며, 증조부는 도승지를 역임한 치훈, 조부는 필명으로 공조좌랑을 역임,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