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해금산 / 南海錦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삼동면·이동면에 걸쳐 있는 산. 한려해상국립공원(閑麗海上國立公園)에 속하는 금산(錦山)은 해발고도 705m로, 경상남도 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상에는 강화도 보문사, 낙산사 홍련암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기도처의 하나인 보리암이 있다
남해금산봉수대 / 南海錦山烽燧帶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에 있는 봉수대. 경상남도 기념물 제87호. 『세종실록』 지리지에 보면, 곤남군에는 봉화가 세 곳 있는데, 금산봉화는 남해도 동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본도(本道) 소흘산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경상도지리지』에 보면, 금산연대봉화는 남해도
남해다정리지석묘 / 南海茶丁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경상남도 기념물 제62호. 현재 들판의 논둑을 따라 대체로 3∼4m씩 사이를 두고 11기 가량이 분포하고 있다. 외형상 모두 기반식으로 대형의 상석 아래에는 작은 할석으로 지석을 마련한 것인데 하부구조는 잘
남해당지 / 南海堂址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에 있는 고려시대 이후 남해신에게 제의를 행하던 제사터.시도기념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97호. 지정면적 8,291㎡. 남해신당제(南海神堂祭)는 나라에서 제사를 지내던 3대 해신당제(海神堂祭)의 하나로, 고려 때 전라남도에서는 가장 먼저 국제(國祭)
남해당항리느티나무 / 南海唐項里─ [과학/식물]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당항리에 있는 느티나무. 경상남도 기념물 제199호. 나무의 높이는 25m이고, 나무의 나이는 500년으로 추정된다. 가슴높이줄기둘레는 7.1m이고, 가지 길이는 동쪽 17.2m, 서쪽 18.5m, 남쪽 15.6m, 북쪽 16.2m이다. 오래된 느
남해대교 / 南海大橋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 총 연장 660m, 중앙경간 404m, 측경간 128m의 연륙교(連陸橋)이다. 1973년에 준공된 국내에서 가장 긴 3경간(徑間) 2힌지(hinge:경첩) 보강형 현수교(懸垂橋)이다. 남해섬은
남해도 / 南海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남해군에 있는 섬. 2009년을 기준으로 창선도의 인구를 포함하면 5만 557명(남자 2만 4157명, 여자 2만 640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만 2234세대이다. 남해군에는 남해읍을 비롯하여 9개의 면이 있다. 이 가운데 창선도는 창선면으로 구
남해문견록 / 南海聞見錄 [문학/고전산문]
1771년(영조 47)에 유의양(柳義養)이 지은 유배기행록. 1책. 국문필사본. 주요내용으로는 노량나루와 이순신(李舜臣), 남해읍 마애비(磨崖碑), 친분 있는 유배객의 만남, 죄인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던 일, 금산(錦山)의 아름다운 경치, 남해섬에서 나는 물산(物産),
남해물건리방조어부림 / 南海 勿巾里 防潮魚付林 [경제·산업/산업]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에 있는 방조어부림. 면적 2만 3,397㎡. 천연기념물 제150호. 어부림이란 본디 어군(魚群)을 유도할 목적으로 해안·호안·강안 등지에 나무를 심어 가꾼 숲을 말하는데, 이 숲은 어업보다 마을의 주택과 농작물을 풍해에서 보호하는 방풍림의
남해상주리석각 / 南海尙州里石刻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양하리(상주리와 경계)에 있는 선사시대의 석각화(石刻畵). 세로 50㎝, 가로 100㎝. 경상남도기념물 제6호. 금산(錦山) 부소암(扶蘇巖)으로 오르는 길목의 가로 7m, 세로 4m의 평평한 암석 위에 새긴 것으로, ‘서불과차(徐市過此)’라고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