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최신 / 崔愼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송시열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송시열이 제2차 복상문제에서 남인에게 패하고 유배되자, 이에 반대하는 유필명의 소문이 올려졌는데 그 소문의 작성자로 지목되어 사천으로 유배되었다. 이후 풀려나와 사옹

  • 최양업 / 崔良業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신부(1821∼1861). 1837년 김대건·최방제와 함께 조선인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마카오에서 신부수업을 받고, 1849년 상해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귀국하였다. 김대건이 1846년에 순교한 후에 유일한 조선인 신부로서 전교에 힘쓰다가 과로와

  • 최영록 / 崔永祿 [종교·철학/유학]

    1793년(정조 17)∼1871년(고종 8). 조선 후기 성리학자. 최흥효의 후손, 고조는 최징조, 증조는 최기중, 조부는 최지해이다. 부친 최성한과 모친 손회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홍여하의 현손녀이다. 자기 수양과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이황과 정구의

  • 최원정화풍남태설 / 崔猿亭畵諷南台說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문 필사본. 구 김동욱(金東旭) 소장의 『고소설(古小說)』 속에 실려 있는 작품이다. 이 책에는 네 편의 단편들이 있는데 이 작품은 그 첫머리에 실려 있다. 최원정의 이름은 수성(壽城)이고, 원정은 그의 별호다. 작품의 말미에 원정이 놀던

  • 최익대 낙안군수 해유문서 / 崔益大 樂安郡守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784년(정조 8) 9월 30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0월 초8일 수전라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 이관, 1785년(정조 9) 12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하였다. 최익대(崔益大)는 1780년(정조 4) 12월 21일에

  • 최익성전 / 崔翼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1책. 필사본. 편말(篇末)에 ‘계축정월이십구일필서’라 적혀 있으며, 뒷 부분에 「삼옥삼주기(三玉三奏記)」라는 소설도 함께 들어 있다. 「최익성전」은 전면 97면으로서, 결말부의 마무리가 되어 있지 않은 채, 전쟁이 치열한 가운데 절정

  • 최제우 / 崔濟愚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동학인·교조(1824∼1864). 동학을 창시하고 1861년 포교를 시작하였다. 경주에 정착한 뒤 전국 각지로 교세가 퍼지기 시작하였으나 조정에서 파견된 정운구에 의해 체포된 후 처형되었다.

  • 최진립 / 崔震立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무신. 득정 증손, 할아버지는 삼빙, 아버지는 신보, 어머니는 황사종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동생 계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가덕참사, 경흥부사, 공조참판,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하였다. 저

  • 최창걸 / 崔昌傑 [종교·철학/유학]

    1707년(숙종 33)∼1781년(정조 5). 조부는 최후징, 아버지는 최석태, 외조부는 윤동형, 아들 최수침과 최수노가 있으며, 외손으로 성원묵이 있다. 어려서부터 옛 성현들의 학문에 전념했다. 관찰사가 천거하여 1753(영조 29)에 참봉에 제수되어 양지현감에 이

  • 최창대 / 崔昌大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명길 증손, 석정 아들, 어머니는 이경억의 딸이다. 16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검열·설서·부수찬을 거쳐 1698년 암행어사가 되었다. 이어 교리·이조좌랑·헌납·응교를 거쳐 1704년 사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