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해 용문사 부도군 / 南海龍門寺浮屠群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후기 역대 승려들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9기의 석조 불탑.부도. 시도유형문화재. 용문사 일주문에서 100여 미터 아래의 낮은 둔덕에 위치해 있는 9기의 석조 부도군으로, 2005년 7월 21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5호로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 南海知足海峽竹防簾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과 창선면 사이에 위치한 지족해협에 있는 명승. 지족해협은 조수 간만의 차이에 따라 바닷물이 양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흐른다. 따라서 이곳은 양방향으로 흐르는 빠른 물살을 이용해 고기를 잡는 고정식 그물을 설치하기 좋은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두

  • 남해 창선도 왕후박나무 / 南海 昌善島 王厚朴─ [과학/식물]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대벽리에 있는 왕후박나무. 천연기념물 제299호. 높이는 9.5m이고 나무의 나이는 500년으로 추정된다. 가지의 길이는 동쪽 10.4m, 서쪽 7m, 남쪽 7.7m, 북쪽 12m이다. 이 나무는 마을 옆에서 자라고 있으며, 밑에서 11개로 갈라

  • 남해 화방사 건륭삼십이년 동종 / 南海 花芳寺 乾隆三十二年 銅鍾 [예술·체육/공예]

    경상남도 남해군 화방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동종은 1767년(영조 43)에 제작되었고, 원래는 경상도 성주 쌍사(雙寺) 내원암(內院庵)에 봉안되었던 유물이다. 2010년 3월 11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94호로 지정되었고, 남해군 화방사에 소장되어 있다. 종

  • 남해 화방사 동종 / 南海 花芳寺 銅鍾 [예술·체육/공예]

    경상남도 남해군 화방사에 있는 조선시대 동종. 조선 후기 동종으로, 2010년 3월 11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95호로 지정되었고, 남해군 화방사에 소장되어 있다. 화방사는 경상남도 남해의 대표적 사찰로 범종, 금고, 향완, 바라 등 조선 후기 금속 공예품이 다수

  • 남해 화방사 청동반자 / 南海 花芳寺 靑銅飯子 [예술·체육/공예]

    경상남도 남해군 화방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청동반자. 조선 후기에 제작된 청동반자로, 2010년 10월 7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5호로 지정되었고, 남해군 화방사에 소장되어 있다. 반자(飯子)는 원형의 쇠북으로, '금구(金口)' 또는 '금고(金鼓)'로도 불리며,

  • 남해경주해산보 / 南華經註解刪補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세당이 장자의 『남화경』을 풀이한 주석서. 남인(南人)의 집권과 함께 양주(楊州)석천(石泉)에 물러나 은거하던 시절, 그의 나이 54세에 지었다. 조선조는 유가(儒家) 독존의 기풍으로 도가(道家)나 불가(佛家)에 대한 사대부들의 저술이 거의 전무하다시

  • 남해고속도로 / 南海高速道路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와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고속국도. 고속국도 제10호선이다. 기점은 전라남도 영암군이고 종점은 부산광역시 북구이다. 기존에 전라남도 순천시에서부터 부산광역시까지 개통되었다가, 2012년 4월 27일자로 영암·순천 구간이 추가로 개통됨으로써 전구간에 걸친 공사가

  • 남해군 / 南海郡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남서단에 위치한 군. 동쪽은 통영시, 서쪽은 전라남도의 광양시·여수시, 남쪽은 남해, 북쪽은 하동군·사천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48′∼128°51′, 북위 34°04′∼34°56′에 위치한다. 면적은 357.52㎢이고, 인구는 4만 5865명(2015

  • 남해군읍지 / 南海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남해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10장). 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南海郡邑誌(경상남도남해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남해현읍지(南海縣邑誌)』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