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한조 / 南漢朝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44∼1809). 어려서 부모를 잃고 외삼촌인 김진동에게 글을 배웠다. 이상정에게 학문하는 방법을 배운 뒤 거경궁리에 힘썼다. 초야에 은둔하며 후진양성하였고, 여러 번 도백과 암행어사의 천거를 받았지만 끝내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저서로는 <손재

  • 남한지도 / 南漢地圖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에 위치한 남한산성을 그린 지도. 연대와 작자는 미상이다. 축 형태의 채색필사본으로 세로 132㎝, 가로 83.5㎝이다.「남한지도」는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에 위치한 남한산성을 그린 지도로 원성(元城), 외성(外城), 포루(砲壘)

  • 남한치영 / 南漢緇營 [정치·법제/국방]

    경기도 광주군 남한산성 안에 있었던 의승군의 군영. 남한산성은 수도의 방어를 위한 중요한 요새로, 수어청에 소속되어 있었다. 1624년(인조 2) 남한산성을 개축할 때 성 안 사찰의 의승을 모아 치영(緇營)을 설치하고, 팔도도총섭 각성(覺性)의 지휘 아래 의승군이 이

  • 남한호 / 南漢皜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21년(순조 21).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부는 남도훤, 조부는 남정구, 생부는 남필석이다. 남필관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손재 남한조에게 수학하였다. 1778년(정조 2) 퇴계학의 맥을 잇는 입재 정종로를 찾아가 공부하였다. 순암 안정복에게

  • 남해 / 南海 [지리/자연지리]

    우리 나라 남쪽에 있는 바다. 제주도를 비롯하여 섬이 많아 이른바 다도해를 이루며, 해안지형이 매우 복잡하다. 남해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서 갈라져 나온 산맥들이 해안에 이르러 지반이 침수된다. 이로 인해 크고 작은 만과 반도 및 섬들이 많고 해안선의 출입도 심하다.

  •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논 / 南海加川─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홍현리에 있는 명승. 남해군 서남단 남면 홍현리 바닷가에 위치해 있다. 다랑이논은 농경시대 사람들의 전통적인 삶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 농업경관이다. 논은 설흘산과 응봉산 아래 바다를 향한 산비탈 급경사지에 조성되어 있다. 산의 지형을 따라 곡선 형

  • 남해 고현면의 느티나무 / 南海 古縣面─ [과학/식물]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갈화리에 있었던 느티나무. 1982년 11월에 천연기념물 제276호로 지정되었으나 태풍피해 및 노쇠로 인해 고사되어 2013년 1월에 천연기념물에서 지정 해제되었다. 높이 17.5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9.3m인 노거수로서 나무의 나이는 약 5

  •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 南海 彌助里 常綠樹林 [과학/식물]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에 있는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29호. 면적 1,732㎡. 이 숲은 미조리 바닷가 언덕의 사면에 위치하며 마을 바로 앞에 있다. 처음에는 풍수설에 따라서 지형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호하기 시작하였다고 하나, 지금은 방풍림과 어부림(魚

  • 남해 용문사 대웅전 / 南海龍門寺大雄殿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1849호.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팔작지붕건물.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85호. 좌우 퇴칸에 비해 중앙 어칸이 넓고 매 칸마다 2구의 공간포가 놓여 있다. 공포 구성은 외3출

  • 남해 용문사 동종 / 南海 龍門寺 銅鐘 [예술·체육/공예]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의 용문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동종. 이 종은 하대로 내려갈수록 자연스럽게 넓어지는 형태인데 정상부에는 음통과 용뉴가 한 개씩 있다. 음통의 입구는 연꽃이 만개한 모양인데 아래쪽은 사선으로 표현하였다. 용뉴의 용은 꼬리로 음통을 두 번 휘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