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포 / 藍浦 [지리/자연지리]
지명. 조선시대 충청도에 있던 현(縣)으로 오늘날의 보령군(保寧郡) 남포면(藍浦面).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국방상 요새지로 중시되어 진을 설치하고 조선 태조(太祖) 6년에 병마사로 하여금 판현사(判縣事)를 겸임하도록 한 바 있다.
남포문집 / 南浦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정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99년 저자의 5대손 인찬(仁燦)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인찬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218
남포선 / 藍浦線 [경제·산업/교통]
충청남도 보령시의 남포와 옥마 사이에 부설된 철도. 길이 4.5㎞. 영업길이 4.3㎞. 장항선의 지선으로 단선철도이다. 철도청 발족 이후인 1964년 5월 8일 착공하여 1964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1965년 5월 22일 설치된 보통역인 옥마역이 하나 있다.
남포읍지 / 藍浦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남포(현 보령시 남포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901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성씨(姓氏)·산천(山川)·풍속(風俗)·방리(坊里)·전부(田賦)·요역(徭
남포집 / 南圃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만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1년에 간행한 시문집. 김만영의 문인 나만성(羅晩成)의 편집을 거쳐, 1831년(순조 31) 5세손 김양국(金亮國)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유헌(金裕憲)의 서문과 한용간(韓用幹)·이현일(李玄逸)의 발문, 권말에 심계석(
남포태산 / 南胞胎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에 있는 산. 높이 2,485m. 우리 나라에서 여덟번째 높은 산으로 마천령산맥에 속한다. 서북쪽에 소백산, 북쪽에 북포태산(北胞胎山, 2,289m), 남쪽에 장군봉(將軍峯, 2,108m)·백사봉(白沙峯, 2,099m)이 있다. 이 산은 전체적으로
남포향교 / 藍浦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옥동리에 있는 향교. 조선 태종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530년(중종 25)에 중수하고 1635년(인조 13)에 중창하였으며, 1720년(숙종 46) 웅천면 대창리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
남풍사 / 남풍사 [예술·체육/무용]
1922년 하와이의 재미한인들이 한국의 전통예술을 장려하기 위해 조직한 단체. 한국의 고유한 음악과 무용을 재미 한인 2세에게 장려하는 동시에 이를 외국인 사회에 선전하기 위해 설립한 예술단체이다. 1922년 5월 20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한국의 음악과 무용을 재미
남하정 / 南夏正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678∼1751). 1714년(숙종 40)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접고 학문과 후진양성으로 일생을 보냈다. 경사와 제자백가에 능통하였으며, 문장은 이식과도 종종 비교되었다. 저서로《사대춘추》·《동소만록》 등이 있다.
남학명 / 南鶴鳴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654∼1722). 소론의 영수로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의 아들이다. 천거로 주부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했다. 문집으로《회은집》·《회은잡지》, 편저로《와유록》 등이 있다. 자녀로는《몽예집》을 남긴 남극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