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파유고 / 南坡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안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4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35수, 서(書) 8편, 설 2편, 기 3편, 축문 2편, 제문 1편, 유사 2편, 권3에 부록으로 가장

  • 남파유고 / 南坡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박필조의 시·제문·서(書)·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연대를 알 수가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 257수, 제문 2편, 서(書) 1편, 가장 1편, 부록으로 행장·묘지명·세가(世家)·조비가전(祖妣家傳)

  • 남파집 / 南坡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희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1898년(고종 35) 이희석의 손자 이대원(李大遠)·이정원(李正遠)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평묵(金平默)·최익현(崔益鉉) 등의 발문 6편이 있다.

  • 남파집 / 南坡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홍우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8년에 간행한 시문집. 1868년(고종 5) 장학의 8대손 장두현(張斗鉉)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인원(張仁遠)의 서문과 권말에 장두현의 발문이 있다. 4권 2책. 목판본.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 남편 / 男便 [사회/가족]

    부부관계에 있는 한 쌍의 남녀 중 남자 쪽을 가리키는 친족 용어. 부계친족제도에 기초한 우리 사회에서의 남편은 단지 ‘아내의 배우자’ 이상의 개념이다. 우리의 전통적인 관념에 의하면 아내와 남편은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가계(家系)는 남자 계통으로

  • 남평 / 南平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나주 지역의 옛 지명. 940년(태조 23) 남평(南平, 또는 永平)으로 고치고 나주목에 속하였다가, 1172년(명종 2) 감무관(監務官)으로 독립 고을이 되었다. 1390년(공양왕 2) 수령(守令)이 폐지되고 화순현에 겸관(兼官)으로 편입되었다. 1394년(

  • 남평문씨본리세거지 / 南平文氏本里世居地 [사회/촌락]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있는 조선후기 남평문씨의 동족마을.세거지. 대구광역시 민속문화재 제3호. 11동. 11,701㎡. 약 300년 전에 남평문씨인 문재철(文在徹, 監正公)이 지금의 대구광역시 서구 성당동 부근에 입향(入鄕), 정착하였다. 그리고 그의 5대손 문달

  • 남평문씨족보 / 南平文氏族譜 [사회/가족]

    1736년 문우징 등이 중심이 되어 간행한 남평문씨의 족보. 분량은 3권 3책이며, 강양(江陽)의 해인사(海印寺)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표제와 판심제 모두 “남평문씨족보”이며, 흔히 ‘남평문씨 병진보(丙辰譜)’로 통칭된다. 크기는 반곽이 세로 23.5㎝×가로 18.

  • 남평읍지 / 南平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도 남평(현 나주시 남평읍)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38년에 편찬한 지방지. 4권 2책. 인본(印本). 1657년(효종 8) 편찬한 것을 1838년 증보, 간행한 것이다. 1928년 홍승복(洪承復) 등이 다시 수보(修補), 간행하였다. 서정렬(徐

  • 남평향교 / 南平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교원리에 있는 향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1420년(세종 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남평현 동문(東門) 밖에 창건되었다. 그 뒤 1534년(중종 29)에 남일리(南一里) 자고개[尺峴]로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