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수산굴 / 水山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에 있는 용암동굴. 길이 4,675m. 지층은 신생대 제3기와 제4기 사이에 해당되는 유동성이 큰 표선리현무암층(表善里玄武岩層)으로 되어 있어 대규모의 용암동굴이 발달될 수 있는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 화산동굴은 용암동굴로 세계 제

  • 수성대 / 水城臺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두길리에 있는 경승지. 구천동의 3대경승지 중의 하나이다. 나제통문에서 위쪽으로 약 5㎞ 지점에 있다. 옛날부터 유람객이 많이 찾았으며, 영·호남 선비들이 시회(詩會) 등을 자주 열던 곳이다.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 위에는 수백명이 앉을 수 있는

  • 수성천 / 輸城川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무산군 동부에 있는 차유봉에서 발원하여 청진시 수남구역 어항동에서 동해 경성만에 유입되는 하천. 함경북도 무산군 동면의 차유산(車踰山, 1,559m)과 부령군 서상면의 삼지봉(三池峯), 서상면과 회령군 보을면의 경계인 민사봉(民沙峯, 1,278m)에서 발원하여

  • 수성평야 / 輸城平野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부령군과 청진시 지역에 걸쳐 있는 수성천(輸城川) 유역의 평야. 수성평야의 면적은 90㎢이고, 송평구역, 나남구역의 동쪽, 수남구역, 포항구역을 차지하고 있다. 배후지는 완경사를 이루어 밭농사가 활발한데 주산물로는 콩이 유명하고, 축우가 발달하였다. 주요 채소

  • 수양산 / 首陽山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벽성군 서석면과 해주시에 걸쳐 있는 산. 높이 899m. 멸악산맥과 마식령산맥이 서남 방향으로 뻗어가다가 만나는 지점인 서쪽 끝머리에 자리잡고 있다. 산세는 남북쪽으로 뻗어 있는 잔구형(殘丘形)의 노암산지(露岩山地)이다. 이 산의 북쪽에는 가장 높은 봉우리인 유

  • 수양산폭포 / 首陽山暴布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벽성군 금산면 학현리(지금의 황해남도 해주시 학현동)에 있는 폭포. 높이 128m. 거대한 화강암으로 된 280m 높이에서 흘러내리는 폭포의 모습은 웅장하고 기이하여 예로부터 명승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폭포 벽이 약간 휘어들어 있어 아래에서는 폭포의 모습이 다

  • 수우도 / 樹牛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사량면 돈지리에 있는 섬. 동경 128°04′, 북위 34°04′에 위치한다. 남해군 창선도와 사량면의 주도인 사량도 사이에 있다. 면적은 1.28㎢이고, 해안선 길이는 7.0㎞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54명(남 26명, 여 28명)이 거주하고

  • 수풍호 / 水豊湖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삭주군ㆍ창선군ㆍ벽동군과 자강도 우시군ㆍ초산군 및 중국 요동성ㆍ길림성에 걸쳐 있는 호수. 면적 298.16㎢이고, 둘레는 1,074.7km, 길이는 138.3km, 너비는 약 2.2km이다. 유효 저수량은 76억㎥에 달한다. 평안북도 삭주군 수풍노동자구에 설치되

  • 순위도 / 巡威島 [지리/자연지리]

    황해남도 강령군 순위리에 있는 섬. 옹진반도의 남동쪽에 있으며 용호도(龍湖島)와 함께 강령강(康翎江)의 입구를 막고 있다. 북쪽에는 용호도, 서쪽에는 어화도(漁化島), 동쪽에는 강령반도(康翎半島)와 1∼2㎞ 가량의 좁은 수도(水道)로 마주 대하고 있다. 면적은 26.5

  • 순화강 / 順和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평원군과 대동군을 남동류하여 대동강 하류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약 51㎞. 지류인 양무천(楊武川)과 반석천(班石川)이 합하여 대동강의 범람원인 두로도(豆老島)가 있는 하류 쪽으로 흘러든다. 양무천은 평원군 덕산면의 중앙에 있는 수화산(秀華山, 198m)에서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