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총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돌리네 / 돌리네 [지리/자연지리]
석회암 지대에서 용식작용이나 함몰작용에 의해 지표에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와지(窪地). 돌리네라는 말은 슬라브어로 계곡(valley)이라는 뜻을 갖는다. 단면 형태는 사발형, 접시형 등 다양하다. 규모는 직경 수~수백m까지 다양하나 대체로 20m 내외로 발달한다.
동계 / 洞契 [사회/촌락]
마을 또는 동리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하여 공유재산을 마련하고 관리하는 자치 조직. 계란 특정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모여 공동으로 기금을 염출하고, 그 기금으로 식리(殖利)하여 목적을 달성하려는 결사체이다. 전통 촌락은 대부분 촌락의 복리증진과 협동, 동제 등
동굴 / 洞窟 [지리/자연지리]
자연적으로 형성된 바위굴. 동굴은 그 성인(成因)에 따라 석회동굴·화산동굴·해식동굴(海蝕洞窟), 그 밖에 빙하동굴·석고동굴(石膏洞窟)·사암동굴(砂巖洞窟) 등으로 구분된다. 동굴은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의 주거지 또는 피난지·수도장(修道場)·저장고, 그리고 군사 작전지나
동남방언 / 東南方言 [언어/언어/문자]
대체로 경상남북도 전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과 황금면 및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과 남원시 동면·산내면 등도 동남방언에 속할 가능성이 짙다. 강원도와는 대체로 현재의 도 경계에서 나뉘며, 전라남도와도 대체로 행정구획상의 도 경계에서 나뉘나 섬진강
동도서기론 / 東道西器論 [교육/교육]
1880년대 초 김윤식·신기선 등이 주창한 전통적인 제도와 사상은 지키되 근대 서구적인 기술은 받아들이자는 이론. 사상이 전통과 연속되는 내재적 측면에서 보수성이 생기고, 근대 서양자본주의 및 과학·기술과 연결되는 외래적 측면에서 진보성이 생겨, 결국 이 양면을 하나로
동리매 / 洞里─ [사회/촌락]
촌락의 규범을 위배한 사람에게 공개된 장소에서 태형을 가하던 마을의 자치적 사회 통제방식. 전통적인 촌락사회에서는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자치적인 사회 통제의 방안으로 돌림·출향(黜鄕)·조리돌리기·화지개 등의 벌칙이 있어 왔는데, 동리매는 죄지은 사람의 신체에 직접적
동리산 / 洞里山 [사회/촌락]
마을 또는 동리가 공유하고 있는 산. 동리산만을 관리하기 위한 조직이 없을 경우는 대동회 때 정해진 절차를 밟으면 동리산을 비롯한 기타 공유재산을 이용할 권리를 얻게 된다. 이사갈 경우는 동리산의 이용권이 자동적으로 소멸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촌락사회가 공유하는 동리산
동맹휴학 / 同盟休學 [사회/사회구조]
학생들이 교육 또는 정치적 요구를 관철하기 위한 수단으로 벌이는 집단적인 등교·수업 거부 운동. 근대 교육 제도하의 학생들은 인간애·자유·평등의 가치를 지향하였고, 근대적 대중교육 초창기에는 일반 국민보다 지적 수준이 높을 뿐 아니라 선구자적 사명감을 가졌다. 그러므로
동명사 / 動名詞 [언어/언어/문자]
명사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사·형용사, 즉 용언의 한 활용형. 알타이(Altai) 언어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로서의 동명사는 부가어적(附加語的) 용법과 명사적 용법의 어미를 모두 포괄하는 것인데, 국어 문법에서는 전자를 관형사형 어미라고 하고 후자를 명사형 어미
동명왕신화 / 東明王神話 [역사/고대사]
고구려의 건국신화. <동국이상국집>, <삼국유사>, <삼국사기> 광개토왕릉비문의 서두, <여지승람>의 평양조, <청장관전서> 등에 수록되어 있다. 동명왕에 관한 문헌들의 기록은 서로 차이를 보인다. 동명왕신화는 영웅서사시로 일컬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