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구개음화 / 口蓋音化 [언어/언어/문자]

    어떤 음을 조음할 때 동시조음으로 전설면(前舌面)과 경구개(硬口蓋) 사이가 좁혀지는 음성현상. 줄여서 구개화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 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이중조음(二重調音)에 있어서의 부차적 조음이 구개부분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구개

  • 구결학회 / 口訣學會 [언어/언어/문자]

    1988년 구결(口訣)을 비롯한 차자표기(借字表記) 자료 전반을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1988년 2월에 구결(口訣)을 비롯한 향찰(鄕札), 이두(吏讀), 어휘표기(語彙表記) 등 차자표기(借字表記) 자료 전반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결연구회(口訣硏究會)

  • 구관조 / 九官鳥 [문학/현대문학]

    허윤석(許允碩)이 지은 장편소설. 1부는 1966년 8월부터 8회에 걸쳐 『문학(文學)』에 발표되었고, 2부는 1973년 8월에 『문학사상(文學思想)』에 게재되었다. 1979년 문학과 지성사에서 단행본으로도 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한 작가의 심리세계를 조명한 것이 특색

  • 구구가 / 九九歌 [문학/구비문학]

    구구법(九九法)에 따라서 말놀이하는 전래동요. 일종의 어희요(語戱謠)이다. 정월에 윷놀이를 즐기다가 이긴 편이 춤을 추면서 부르는 노래로, 구구법에 좇아 거침없이 외워나가는 그 자체를 즐기는 노래이다. 구구팔십 일광로는 여이동빈 찾아가고 팔구칠십 이적선은 채색강에

  • 구기자 / 枸杞子 [과학/식물]

    가짓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의 열매. 구기자나무는 낙엽성 활엽관목(闊葉灌木: 넓은 잎의 떨기나무)으로 줄이 처져 있는 줄기는 보통 1∼1.5m 정도이고, 작은 가지가 변한 가시가 있는데, 없는 것도 있다. 잎은 털이 없고 어긋나며 여러 개가 모여 나고, 톱니가 없는 난형

  • 구덕망께터다지기 / 九德망께터다지기 [생활/민속]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구덕 고을 일대에서 전승되어 오는 놀이. 망께터다지기는 전통건축에서 큰 건물이나 집을 지을 때 담장이나 기둥을 세울 곳의 터를 다지던 작업인 망께질 과정으로 구성된 놀이로, 망께를 이용해 작업을 하면서 노동의 고단함을 잊기 위해 시작된 것이다.

  • 구덕산 / 九德山 [지리/자연지리]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과 사하구 당리동 및 사상구 학장동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565m이다. 구덕산은 태백산맥의 지맥인 금정산맥의 남쪽 부분에 속한다. 금정산맥은 북쪽으로부터 금정산(金井山, 802m)·상학봉(上鶴峰, 638m)·백양산(白楊山, 642m)·구덕산

  • 구도 / 鳩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구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79명(남 43명, 여 36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8세대이다. 취락은 남쪽 해안의 중앙부에 집촌(集村)을 이루고 있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임야가

  • 구두쇠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구두쇠를 소재로 한 설화. 소담(笑譚)의 한 종류이며 그 중에서도 과장담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내용상의 특이성에 의해 별종으로 독립시킬 수도 있다. 지금까지 채록, 보고된 자료로는 30여 종의 이화(異話)가 있는데, 그 중 주요 유형은 ① 반찬(고등어) 먹기, ② 밥

  • 구두점 / 句讀點 [언어/언어/문자]

    문장의 논리적 관계를 밝혀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기상의 부호. 글에서 뜻이 끊어지는 곳을 구(句)라 하고, 구 가운데서 읽기 편하게 끊는 곳을 두(讀)라 하며, 이 둘을 합쳐 ‘구두’라 한다. 그리고 구두점을 찍는 방법은 구점(句點)을 문장의 옆에, 두점(讀點

페이지 / 4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