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조선 인민대표자대회 / 南朝鮮人民代表者大會 [정치·법제/정치]
1948년 8월 21일부터 6일간 해주에서 남한지역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위해 열린 회의. 6월에 열린 제2차 남북정당, 사회단체 지도자협회의회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를 실시, 남한지역은 각 시도별로 5-7명 대표를 뽑아 인민대표자 대회를 열고, 여기서 36
남조선국방경비대 / 南朝鮮國防警備隊 [정치·법제/국방]
1946년 1월 15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모체. 미군정은 1월 11일 군정청 내에 임시 사무소를 설치, 국군준비대, 건국치안대 등 기존의 모든 군사단체를 해체한 후 1월 15일 국방경비대를 발족시켰다. 2월 7일 총사령부를 두고 총사령관에 마셜을 임명했다. 6월에
남조선노동당 / 南朝鮮勞動黨 [정치·법제/정치]
1946년 12월 23일 서울에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인민당 3당이 합당 결성했다. 8월 28일 북한에서 북조선노동당이 결성된 이후 남한에서 좌익세력을 재정비하기 위해 조직된 것이다. 원장 허헌, 부위원장 박헌영, 이기석이 선출되었다.
남조선뱃노래 / 南朝鮮─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필사본. 『수운가사(水雲歌辭)』 10편 중 제5편으로 수록되어 있다. 김광순(金光淳)이 경상북도지방에서 발굴, 소장하고 있으며, 4음보 1행으로 총 137행이다. 천지로 배를 모아 요순우탕(堯舜禹湯)으로 채를 잡아 문무주공(文武周公)으로
남조선신민당 / 南朝鮮新民黨 [정치·법제/정치]
1946년 7월 결성된 정당. 중국 연안에서 활동하던 조선독립동맹이 해방후 귀국, 1946년 2월 16일 북한에서 조선신민당을 조직, 서울에 경성특별위원회를 두었는데, 그해 7월 남조선신민당 중앙위원회로 이름을 바꾸고 하나의 독립정당으로 활동하게 된 것이다. 김두봉,
남존여비 / 男尊女卑 [사회/사회구조]
남성의 권리나 지위 등을 여성보다 우위에 두고 여성을 업신여기는 관행. 남녀불평등 현상은 수렵·채집 사회 이외의 거의 모든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조선시대에 유교이념이 널리 퍼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남존여비라는 말로 용어화되고 관
남종삼 / 南鍾三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순교자(1817∼1866). 러시아 세력이 밀려들자 프랑스 선교사의 도움으로 영·프 동맹을 맺어 러시아를 저지시키는 계책을 흥선대원군에게 건의하여 천주교를 공인받으려다가, 도리어 병인박해로 순교하였다. 1968년 시복되었고, 1984년 성인품에
남주문집 / 南洲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조승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9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석인본. 1959년 삼종제(三從弟)인 헌기(獻基)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헌기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남준형 / 南峻衡 [종교·철학/유학]
1703년(숙종 29)∼1778년(정조 2).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남명흠, 생부는 남여흠, 형 남기형이 있다. 1753년(영조 29) 식년 생원시에 2등 1위로 합격하였다. 벼슬에는 뜻이 없어 오로지 경전과 역사공부로 즐거움을 삼으면서 후학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남지기로회도 / 南池耆老會圖 [예술·체육/회화]
1629년(인조 7) 숭례문 앞 홍사효(洪思斅)의 집에서 열린 기로회(耆老會) 장면을 그린 계회도를 모본으로 하여 조선 후기에 다시 그린 이모본(移模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5호.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15.5㎝, 가로 71.2㎝. 1629년 6월, 숭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