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전리지석묘군 / 南田里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남전리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출토유물은 석검 2점과 석촉 1점, 홍도 2점이다. 동아대학교박물관과 밀양시립박물관에 각각 1점씩 소장되어 있다.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석검은 길이 44.5cm의 회색 점판암으로 제작된 이단병식으로 검

  • 남정가 / 南征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의 양사준(楊士俊)이 지은 가사. 목판본. 내용은 양사준이 태조의 창업 이후 200년 동안 전란을 모르다가 왜구의 침략으로 피폐하여진 백성의 상태를 살피고 그 전란을 평정하려고 영암에 내려옴과, 평정과정을 읊은 다음에 승전의 공을 선왕과 명종에게 돌리고 마지

  • 남정록 / 南征錄 [역사/근대사]

    백낙완이 동학농민군의 진압과 전투 상황에 대하여 기술한 천도교서. 회고록. 『남정록(南征錄)』의 내용과 소장자로 미루어 저자는 백낙완(白樂浣, 1845∼?)으로 여겨진다. 이 책은 저자가 경리청 대관(隊官)으로 임명된 1893년부터 경리청을 사직한 1896년까지의 회

  • 남정일기 / 南征日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영조 때 박조수(朴祖壽)가 지은 유배기행록. 1책. 필사본. 지은이의 할아버지인 박성원(朴盛源)이 1775년(영조 51) 11월 17일(음력)에 집의(執義)였던 남강로(南絳老)를 두둔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영조의 노여움을 사 그날로 대사간에서 파직됨과 동시에 흑산도

  • 남정철 / 南廷哲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1840∼1916). 갑신정변 때 김윤식과 함께 청나라 병영으로 가서 김옥균 등 개화당의 축출을 위하여 출병을 요청하였다. 1910년 한일합방때 일본정부로부터 남작의 작위를 받았다. 문집은《하산고》이다.

  • 남정팔난기 / 南征八難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남정팔난기」는 주인공 황극의 ‘영웅의 일대기’를 중심구조로 하여 여러 인물들을 등장시킨 작품으로, 주인공이 여러 번의 액운을 만나서 온갖 고생을 한 다음 우여곡절 끝에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유교적인 입신양명의 사

  • 남제만 / 南濟萬 [종교·철학/유학]

    1712년(숙종 38)∼1746년(영조 22). 조선 후기 문인. 증조부는 남상주, 조부는 남구명, 아버지는 통덕랑 남국형이다. 외조부는 이덕함이다. 1741년(영조 17) 신유 식년시 병과 1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1745(영조 21) 부친의 병환에 귀향하여 봉양

  • 남제주군 / 南濟州郡 [지리/인문지리]

    제주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했던 군으로 2006년 서귀포시에 통합된 행정구역. 동·서·남쪽은 바다에 면하고 북쪽은 제주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10′∼126°56′, 북위 33°06′∼33°28′에 위치한다. 면적은 615.48㎢이다. 인구는 6만 1548명(20

  • 남제주상모리패총 / 南濟州上摹里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산이수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조개더미. 민무늬토기시대 유적으로는 보기 드문 조개더미 유적이다. 이 곳에서 출토된 유물의 대부분은 민무늬토기로서 적갈색 조질민무늬토기(粗質無文土器)와 마연토기(磨硏土器) 두 종류가 있다. 적갈색 민무늬

  • 남제주화력발전소 / 南濟州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화순리에 있는 화력발전소. 단위기용량 1만㎾급 중유전소 기력발전설비 2기로 구성된 시설용량 2만㎾의 화력발전소이다. 우리나라 경제의 고도성장시기에 세워진 제4차전원개발계획(1977∼1981)에 의거, 제주지역의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처하기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