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은유고 / 南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사공호의 시· 서(書)·발·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손자 식(湜)·흡(洽) 등이 편집하고, 1959년 증손 주(柱)·계(桂)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족손 유(槱) 등의 발문 및 후지 4편이 있다.

  • 남은유집 / 南隱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여중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단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08수, 서(書) 43편, 권2에 잡저 10편과 부록으로 만사 4편, 제문 3편, 행장·

  • 남을진 / 南乙珍 [종교·철학/유학]

    1331∼1393. 고려 후기의 충신. 할아버지는 익저, 아버지는 천로이다. 1368년(공민왕 17)에 현량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참지문하부사에 이르렀다. 정몽주·길재와 교유가 있었으며, 고려말에 정치가 문란하여지자 양주의 사천현 봉황산에 은거하였다.

  • 남읍리마을제 [종교·철학/민간신앙]

    제주도 남읍리의 마을 제의. 제주도 무형문화재 6호로 1986년 4월 1일 지정되었다. 남성들이 주체가 되어 포제단에서 유교식으로 지낸다. 제의장소는 금산공원에 있는 포신단이다. 모셔지는 신은 포신, 토신, 서신의 세 신으로서, 각각 포신단, 토신단, 서신단의 신단을

  • 남이섬 / 南怡섬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에 있는 섬. 남이섬이라는 지명은 남이(南怡) 장군의 묘소로부터 유래하였다. 그러나 남이 장군의 묘소가 섬 어디에 있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남이섬은 1960년대 중반부터 관광지로 개발되었다. 섬에는 각종 놀이시설ㆍ숙박시설ㆍ동물원ㆍ

  • 남이장군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전기의 무신 남이에 관한 설화. 비범한 능력을 가졌으나 억울한 죽음을 당한 명장 남이에 관한 인물전설이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청야만집(靑野謾輯)』·『대동기문(大東奇聞)』에 문헌 자료가 전해지고 있으며, 구전설화도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문헌 자료는

  • 남이증시문서 / 南怡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고 병조판서 남이(南怡)에게 '충무(忠武)'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직첩. 문서에는 '임환불망국왈충 절충어모왈충'이라 적어 충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융희 4) 8월 20일《순종실록》에는 서기 등 26명에게 시호를 추증한

  • 남이흥장군일가유품 / 南以興將軍一家遺品 [생활/의생활]

    충청남도 당진시 모충관(慕忠館)에 소장되어 있는 남이흥(南以興:1540~1627) 장군과 의령남씨(宜寧南成) 선·후대의 유품 41점. 남이흥은 27세 때 무과에 합격한 후, 49세에 이괄(李适)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진무(振武) 1등 공신이 되었으며 52세에 병마절도사

  • 남장포대 / 南障砲台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축조된 포대.군시설·돈대. 강화는 남·서·북 삼면에 아무런 방비시설이 없어 소홀한 감이 있었으나 1679년(숙종 5)에 유수(留守) 윤이제(尹以濟)가 돈대를 쌓아 방비하였다. 이 남장포대는 강화 9개 포대 중의 하나로, 18

  • 남재 / 南在 [종교·철학/유학]

    1351(충정왕 3)∼1419(세종 1).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지영광군사 천로, 아버지는 검교시중 을번, 어머니는 최강의 딸이다. 아우 은과 함께 이성계의 세력에 가담해 고려 조정의 신진 사류로서 구 세력과 대립했다. 대사헌, 판중추원사, 도병마사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