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원분지 / 南原盆地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남원시 일대에 형성된 분지. 남원분지는 남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장축이 약 15㎞, 단축이 약 3㎞이다. 운봉분지·구례분지와 인접해 있다. 전체적인 지형 발달은 이들 분지와 같이 북동∼남서 방향의 지질구조선을 반영하고 있다. 차별침식(差別侵蝕)으로

  • 남원시 / 南原市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시. 동쪽은 경상남도 함양군, 서쪽은 순창군, 남쪽은 전라남도 구례군과 곡성군, 북쪽은 임실군·장수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7°11′∼127°40′, 북위 35°18′∼35°33′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752.20㎢이고 인구는 8만 48

  • 남원원동향약 / 南原源洞鄕約 [역사/조선시대사]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호경리 원동향약에서 1638년에 작성한 향약서. 1괄 20여권.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6호. 이 향약은 1572년(선조 5) 남원시 주천면 호경리 용호서원(龍湖書院)의 유림들에 의하여 설립되어 420여년간 존속 계승된 것이다. 일제시대와 6

  • 남원읍성 / 南原邑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었던 조선후기 에 중수된 석축 성곽.성곽터. 사적. 현재의 성곽은 1597년(선조 30) 5월에 크게 고쳐 쌓은 것인데, 성벽 위에는 왜적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서 여장(女墻)을 새로 높이 쌓았다. 그 뒤 8월에 조·명(朝明)연합군과 왜군 사이에 남

  • 남원향교 / 南原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향교. 1410년(태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부(府)의 서쪽인 대곡산(大谷山) 기슭에 창건하였다. 향사(享祀) 때마다 호랑이의 침해가 있는 까닭에 1428년 부의 동쪽 덕음봉(德蔭峰)

  • 남원향교대성전 / 南原鄕校大成殿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조선후기 공자와 선유의 위패를 모신 문묘.교육시설. 시도유형문화재.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건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 남원향교는 1410년(태종 10)에 남원시 서쪽 완정동 부근에 있던 것을 1443년(세종 25) 현재의 위치로

  • 남유용 / 南有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73). 이재의 문인이다. 1740년(영조 16) 알성문과 병과급제 후 원손사부·지중추부사·형조판서·정헌 등을 지냈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다.《명사정강》을 편찬, 《천의리편》·《뇌연집》등을 저술하였다.

  • 남윤전 / 南胤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임진왜란을 간접 배경으로 하고, 효사상(孝思想)과 꿈을 매개로 한 운명적 도선사상(道仙思想)을 바탕으로, 적대감을 승화시키고 있는, 포로문학의 성격을 띤 역사소설이다. 임진왜란 당시의 포로가 되었던 노

  • 남은 / 南誾 [종교·철학/유학]

    1354(공민왕 3)∼1398(태조 7).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천로, 아버지는 을번, 어머니는 최강의 딸이다. 형은 영의정 재, 아우는 우상절도사 지. 삼척지군사, 밀직부사, 지문하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심효생

  • 남은문집 / 南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서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25년경 15세손 석호(錫祜)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이 문집은 집안에 전해오기를 “만일 이것을 내보이면 자손이 멸망할 것이다.”라고 하여 비장(祕藏)되어 오다가 4백여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