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옥 / 南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70). 과거에 급제한 뒤 수안군수 등을 지냈으나 최익남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형을 당해 죽었다. 1763년에 계미 통신사에 서기로 임명되어 일본에 다녀왔다. 저서로《일관시초》·《일관기》외에 다수가 있다.

  • 남용만 / 南龍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9∼1784). 사마시에 합격한 뒤 과거에 뜻을 버리고 오직 학문에 전념하여《대학장구난의》를 저술하였다. 조정에서 여러 관직을 제수하였으나 거절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썼다. 문집으로 <활산선생문집>이 있다.

  • 남용익 / 南龍翼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복시 증손, 할아버지는 진, 아버지는 부사 득명, 어머니는 신복일의 딸이다.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성균관전적, 병조좌랑, 홍문관부수찬, 형조참의, 양주목사, 대사간, 대사성, 공조참

  • 남원 / 南原 [지리/자연지리]

    지명. 고려 태조(太祖)가 남원부(南原府)로 고쳤고, 충선왕(忠宣王) 때에 대방군(帶方郡)을 남원군(南原郡)으로 격하되었다가 공민왕(恭愍王) 9년에 다시 남원부(南原府)로 승격된 것을 1413년(태종 13)의 규례에 따라 단부에서 도호부(都護府)로 고쳐졌다.

  • 남원 광한루 / 南原廣寒樓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 광한루에 있는 조선전기 에 중건된 정인지 관련 누정.누각. 보물. 보물 제281호.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본래 이 건물은 조선 초기의 재상이었던 황희(黃喜)가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누각을 짓고 광통루(廣通樓)라 하였고 1434년에

  •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 / 南原萬福寺址幢竿支柱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고려시대 만복사터의 깃대기둥.당간지주. 보물. 보물 제32호. 높이 3m. 도로에서 마을로 들어가는 작은 길의 왼쪽 언덕 아래 세워져 있는데, 원 위치로 추정되며 원래 상태대로 두 지주가 동서로 마주보고 있다. 표면에는 조각이 없으며, 정상부는

  •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 南原萬福寺址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 만복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5층 석조 불탑.보물. 높이 5.5m. 현재 4층 지붕돌까지 남아 있으며, 받침 부분의 구조는 명확하지 않지만 2층 받침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층 받침의 덮개돌로 추정되는 석재가 길 위에 드러나 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땅

  • 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석탑 / 南原實相寺東·西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조성된 2기의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37호. 높이 각각 8.4m. 석탑은 실상사의 중심 법당인 보광전(普光殿) 앞에 동서로 있다. 동탑과 서탑은 규모, 양식, 보존 상태 등이 같고, 특히 상륜부(相輪部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 南原實相寺百丈庵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 백장암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화강암으로 조성한 이형석조 불탑.국보. 높이 5m. 국보 제10호. 전체를 화강암으로 건조한 이 석탑은, 현재의 백장암 남쪽 아래 경작지에 남아 있어 석탑 바로 뒤에 서 있는 석등과 같이 원위치로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 南原實相寺百丈庵石燈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백장안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석등.보물. 보물 제40호. 높이 2.5m. 연화대석 위에 간주(竿柱)를 세우고 그 위에 연화대석을 놓았으며, 화사석(火舍石)과 옥개석, 상륜부까지 전체의 부재가 완전한 석등이다. 8각의 지대석 위에 연화대석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