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양주수석리주거지 / 南楊州水石里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옛 양주군 미금면 수석리)에 있는 청동기 후기의 주거지. 유물은 석기ㆍ토기뿐이다. 석기에는 타제석부ㆍ석창ㆍ단인석부ㆍ갈돌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냇돌로 만든 타제석부가 많은 것이 주목된다. 그것은 이 한강변 신석기시대 석기의 전통이 반영된 점에서

  • 남양주시 / 南楊州市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시. 동북쪽은 가평군, 동쪽은 북한강을 끼고 양평군, 서북쪽은 의정부시, 서쪽은 서울특별시, 남쪽은 구리시·하남시·광주시, 북쪽은 포천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05′∼127°31′, 북위 37°31′∼37°41′에 위치한다. 면적은 458.

  • 남양향교 / 南陽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있는 향교.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4호. 1397년(태조 6)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남양도호부의 동쪽 역골[驛谷]에 창건되었다. 18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

  • 남양호 / 南陽湖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과 평택시 포승읍 사이에 있는 인공호수(人工湖水). 발안천(發安川) 하구의 분양만을 막아 배후지 41.20㎢를 관개(灌漑)하기 위해 1973년에 조성된 하구 담수호이다. 남양호로는 발안천과 세천 등이 유입한다. 남양호는 유입수, 저류수, 방류수로 갈

  • 남양홍씨세보 / 南陽洪氏世譜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 홍일동이 1454년년에 편찬한 남양홍씨의 족보. 현재 원본은 전하지 않고, 홍일동의 서문만 후대에 간행된 족보에 구서(舊序)로 남아 있다. 이 서문에 따르면, 홍일동은 1441년(세종 23) 종형 홍지(洪智)가 제공한 남양홍씨파계지도(南陽洪氏派系之圖)와

  • 남연군사우젼배의 [정치·법제]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사당에 가서 전배하는 절차를 한글로 기록한 문서. 띄어 읽는 단위마다 글자 오른쪽에 점이 찍혀 있는 걸로 보아 홀기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다.

  • 남연년 / 南延年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두명이다. 1676년(숙종 2)에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1727에 청주영장이 되어 토포사를 겸하였다. 이듬해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난을 진압하던 중, 청주성이 함락되면서 절도사 이봉상과 함께

  • 남염부주지 / 南炎浮洲志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목판본. 작자의 단편소설집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실려 있다. 주인공이 꿈속에서 겪은 일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는 몽유구조의 소설로서, 작자의 철학사상이 가장 집약적으로 표

  • 남영 / 南營 [역사/근대사]

    1887년 경상남도 대구에 설치하였던 친군영. 종전의 경상감영군을 친군체제로 개편한 것으로 정식명칭은 ‘친군남영’이었다. 그 지휘관을 남영사라 하였는데 경상도관찰사가 겸임하였다. 이 군영은 갑오개혁 뒤인 1896년에 개편되어 ‘대구지방대’라고 칭하게 되었다.

  • 남오유고 / 南塢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조영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928년 김화정(金和鼎)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1수, 서(書) 5편, 서(序) 21편, 기 3편, 권2에 잡저 3편, 비명 4편, 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