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양방조제 / 南陽防潮堤 [경제·산업/산업]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과 화성시 우정읍 사이에 남양만 하구를 막은 방조제. 1971년에 착공하여 1974년에 준공되었다. 총연장이 2,060m에 이르며, 배수갑문의 길이 84m, 높이 35m, 너비는 상단이 4m, 하단이 33m이다. 이 방조제는 너비 12m의 도로가 있

  • 남양시집 / 南陽詩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문신 백분화(白賁華)의 시집. 상·하 2권 1책. 목판본. 권두에 이함(李涵)의 서문이 있으나 간행경위는 지면의 마멸이 심하여 알 수 없다. 권상에 시 67수, 권하에 시 41수가 실려 있고, 권말에 이규보(李奎報)의 묘지가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의 전래

  • 남양읍지 / 南陽邑誌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남양(현 화성시 남양동)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장서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에 편찬된 『남양군읍지』가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구성은 연혁(沿革)·방리(坊里)·결총(結摠

  • 남양주 봉선사 동종 / 南陽州奉先寺銅鍾 [예술·체육/공예]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보물 제397호. 봉선사 동종은 세조의 추복을 위해 1469년에 제작되었다. 왕실 발원으로 만들어진 조선 초기 대표적인 범종이다. 봉선사는 세조의 능침인 광릉(光陵)의 원찰로 그의 비인 정희왕후 윤씨와 아들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 南陽州水鐘寺浮屠舍利莊嚴具 [예술·체육/공예]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수종사 석조 부도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일괄 유물. 보물 제259호. 청자호(靑磁壺)는 높이 31.2㎝, 입지름 26㎝. 금동구층소탑(金銅九層小塔)은 높이 12.9㎝, 은제도금육각감(銀製鍍金六角龕)은 높이 17.3㎝. 불교중앙박물관 소장. 193

  •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 南楊州水鍾寺舍利塔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운길산(雲吉山) 수종사에 있는 조선전기 왕실의 발원으로 건립된 팔각원당형 사리탑.부도. 보물. 높이 2.38m. 보물 제2013호. 현재 수종사오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호)과 함께 대웅전 오른쪽 뜰에 자리하고 있는 이 부도는 팔각원당형(八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 南陽州水鐘寺八角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수종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조성된 8각의 5층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1808호(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호에서 2013년 9월 4일 보물로 승격 지정됨).팔각형의 옥개석(屋蓋石)을 갖춘 8각의 오층석탑으로 팔각지대석(八角地臺石) 각 면마다에 안

  •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 南楊州 陽地里 香─ [과학/식물]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에 있는 향나무. 천연기념물 제232호. 높이는 13m, 가슴높이둘레는 3.25m이다. 가지는 동서로 11.4m, 남북으로 16m 정도 퍼졌으며, 수관(樹冠: 나무의 줄기 위에 있어 많은 가지가 달려 있는 부분)은 거의 둥글다. 나무의 나이

  • 남양주동막동유적 / 南楊州東幕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남양주시 동막동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유적. 한강의 강안 단구에 위치하고 있는 이 유적은 1960년대에 미국인 체이스(Chase, D.W.)와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의하여 지표조사 및 간단한 시굴이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집터 등의 유구는 확인하지 못하고 단지 빗살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