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신편표제찬도환영지 / 新編表題纂圖寰瀛誌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서류(類書類) 위백규(魏伯珪) 저, 목판본, 2권 1책. 표제는 지도서(指圖書), 판심제는 환(寰)이다. 위백규가 천문(天文), 지리(地理) 등에 도설을 덧붙인 유서이다.

  • 신포 / 身布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역 대신으로 바치던 베. 정군의 부경번상 때 모든 경비는 보인 2인이 책임지도록 되어 있었다. 본래 미곡을 바쳤으나 이를 지참하고 번상하는 데 불편이 많았으며, 점차 베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정군이 보인에게 요구하는 것이 베였으므로 보인이 정군에게 바치는

  • 신필정 / 申弼貞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후석, 어머니는 박문도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천거로 후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어서 경릉참봉·황산도찰방·장흥고주부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저서로

  • 신필주 / 辛弼周 [종교·철학/유학]

    1478년(성종 9)∼1550년(명종 5). 증조부는 신제, 조부는 신숙청, 부친은 신수무이다. 아내는 황수정의 딸이다. 30세 때인 1507년(중종 2) 정묘 증광시 병과 5위로 급제한 후 벼슬은 지평‧예조참의‧통례랑을 역임하였다.

  • 신학 / 申㶅 [종교·철학/유학]

    1645(인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중엄 증손, 할아버지는 용, 아버지는 득홍, 어머니는 정이장의 딸이다. 1673년(현종 14) 통덕으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1674년(숙종 즉위년) 가주서가 되었다. 1677년 지평에 이어 정언을 역임하고 전라도의 흉년

  • 신항서원 / 莘巷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 이정골에 있는 서원. 1570년(선조 3)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경연(慶延)·박훈(朴薰)·김정(金淨)·송인수(宋麟壽)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그 뒤에 한충(韓忠)·송상현(宋象賢)·이색(李穡)·이이(李珥)·

  • 신해박해 / 辛亥迫害 [종교·철학/천주교]

    1791년에 있었던 천주교에 대한 박해. 윤지충이 제사를 거부하고 신주를 불태운 사건으로 발생했다. 1791년 윤지충이 모친상을 당했을 때 북경의 구베아(Gouvea) 주교의 제사금지령에 따라 제사를 지내지 않았으며 신주를 불태웠다. 윤지충의 외종사촌인 권상연도 신주를

  • 신해통공 / 辛亥通共 [경제·산업]

    1791년 조선 후기의 문신 채제공의 건의로 시행된 통공발매정책. 조선 후기에 육의전을 제외한 일반시전이 소유하고 있던 금난전권을 폐지하여 비시전계 상인들의 활동을 용인한 상업정책이다. 이 정책을 통해 도시빈민층과 영세상인 및 소생산자가 보호받을 수 있었고, 상업의 발

  • 신행가 / 新行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필사본. 형식은 4음보를 1구로 계산하면 전체 129구이며, 2음보를 1구로 계산하면 240구이다. 3·4조와 4·4조가 주축이며, 2·4조, 3·5조, 5·4조 등도 아주 드물게 나타난다. 친정어머니가 신행가는 딸에게 시가의 풍속을 잘

  • 신헌구 / 申獻求 [종교·철학/유학]

    1823년(순조 23)∼미상. 조선 말기 문신. 부친은 신응모이다. 1862년(철종 13)에 정시 병과에 합격하였다. 사헌부지평, 집의, 이조참의, 이조참판, 예조판서, 중추원의관, 궁내부특진관을 역임하였다.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