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창란호연록 / 昌蘭好緣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3권 13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에는 다양한 갈등이 복합되어 있으나 부부 사이의 갈등이 핵심적이다. 희부부는 원수지간이고 우부부는 은인지간이다. 형제간에 서로 대조되는 상황을 설정하여 부부의 도리와 애정 사이의 갈등을 문제화하고 있다.
창랑곡 / 滄浪曲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조선시대 가사.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61행이다. 부귀공명을 버리고 일간어죽(一竿漁竹)을 벗삼아 창랑(滄浪)에서 살겠다는, 어부가(漁父歌) 계열의 노래다. “이몸이 한가하여/산수간에 소요하니/부귀공명 듯없기는/연하고질(煙霞痼疾) 병이로다
창랑집 / 滄浪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정암수의 시·사·소·세계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이 문집의 권두에는 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권말에는 정희(鄭㵙)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세계(世系)·사(詞)·시·소(疏)·효행지(孝行誌)·묘갈명, 권2는 시와 손자 준(雋)의 문집
창렬서원 / 彰烈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에 있는 서원. 사육신(死六臣) 중의 한 사람인 하위지(河緯地, 1412∼1456)를 제향하기 위해 1804년(순조 4) 안동부 서후면 교리에 창렬사(彰烈祠)를 건립하여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1809년(순조 9)에 창렬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
창선감의록 / 倡善感義錄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한문필사본. 2권 2책. 이 책은 건곤 두 책으로 분책하여 각각 권지초, 권지이로 분권한 책이다. 권수제와 표제 모두 "창선감의록"이다. 이 책은 14회 장편 장회소설이다. 이 해제 대상본도 권지초에 1-7회까지 수록되어 있고, 권지이에 8-14회가 실려
창암서원 / 昌巖書院 [교육/교육]
경기도(현재의 개성직할시) 개성시에 있었던 서원. 1674년(숙종 즉위년)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이(李珥)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2년(숙종 8)에 ‘창암(昌巖)’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창암집 / 蒼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시인 김상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6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1에 사언시 8수, 오언절구 38수, 칠언절구 38수, 오언율시 46수, 권2에 칠언율시 65수, 오언고시 3수, 칠언고시 1수, 권3에 「족보서(族譜序)」·「기일록서(忌日錄序)」·「가록서(家錄序
창절서원 / 彰節書院 [교육/교육]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서원. 1685년(숙종 11) 장릉(莊陵: 단종의 능)을 개수하면서 감사 홍만종(洪萬鍾)과 군수 조이한(趙爾翰)이 도내에 통문을 돌려 기금을 모아, 단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
창촌 / 倉村 [사회/촌락]
조창(漕倉:배로 운반할 곡식을 쌓아 두던 곳집)이나 각종 창(倉)이 소재하는 마을. 조창은 육상교통이 편리하고 포구(浦口)로서 좋은 조건을 갖춘 지점에 세워졌다. 조창에는 조운선(漕運船)과 그에 딸린 조졸(漕卒)이나 사공·격군(格軍)이 소속되어 있었다. 이들은 다른 지
창평향교 / 昌平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교산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설립연대는 미상이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그 뒤 중건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성전, 정면 4칸 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