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악집 / 南岳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조종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04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704년(숙종 30) 아들 의징(儀徵)·의상(儀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그가 죽은 뒤 큰아들 의징이 최석정(崔錫鼎)에게 부탁해 편집하던 중 의징이 죽자, 의상이 조카

  • 남악집 / 南嶽集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3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753년(영조 29) 제자 일영(日暎)·재초(在初)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병암(屛巖)의 서문이 있다. 권1·2에 오언절구 10수, 오언율시 6수, 칠언율시

  • 남악집 / 南萼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성진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935년 후손 수용(壽鏞)이 편집, 간행하였다. 기록이 없어 저자의 생몰년을 알 수 없으나, 기정진(奇正鎭)과 주고받은 서신 내용의 연도로 보아 순조∼고종연간으로 추정된다

  • 남애문집 / 南厓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두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1935년 5세손 수진(壽晉)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경희(李景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수진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21수, 권2에

  • 남애문집 / 南厓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최창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911년 저자의 아들 학길(鶴吉)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현문(李鉉汶)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장승택(張升澤)의 발문이 있다. 규장

  • 남애집 / 南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홍익진의 시·발기·서(書)·소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현손인 복희(復憙)·석희(錫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노장(奇老章)의 서문과 권말에 복희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11편, 시 3수,

  • 남야문집 / 南野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손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1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활자본. 1801년(순조 1) 아들 한동(漢東), 종질 한사(漢師), 권성익(權聖翊) 등이 간행했고, 그 뒤 1910년에 다시 족현손(族玄孫) 의집(義集) 등이 「주서차록(朱書箚錄

  • 남야집 / 南野集 [종교·철학/유학]

    남야 박손경의 문집. 목판본. 서: 정종로(1802). 발: 박한사(1801), 8권 4책. 권성익이 발의하여 1802년(순조 2) 아들 한동, 종질 한사 등이 간행하였다. 문집을 편집한 것은 박신경이고, 교감한 것은 류규이다. 문집 권1, 2에는 한시가 실려 있다.

  • 남양 / 南陽 [지리/자연지리]

    지명. 원래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에 제목(諸牧)을 강등시켜 익주목(益州牧)을 남양부(南陽府)로 개명(改名)하였던 것을 1413(태종 13)에 도호부(都護府)로 고친 것이다.

  • 남양만 / 南陽灣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서안에 있는 좁고 긴 만(灣). 북쪽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반도(南陽半島)와 그 서쪽의 도서군, 남쪽의 충청남도 당진시 사이의 수역으로 전체적으로 좁고 긴 형태의 남서쪽으로 열려 있는 만으로, 크게는 아산만·분향만과 함께 경기만에 속한다. 난류성 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