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경서연의 / 經書衍義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실학자 이익이 경서 중에서 중요한 문장과 난해한 구절을 풀이한 주석서.유학서. 7권 7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간행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2는 시의(詩義), 권3·4는 서의(書義), 권5는 역의(易義), 권6·7은 예의(禮義)

  • 경서유초 / 經書類抄 [종교·철학/유학]

    경서에서 중요 어구를 뽑아 종류별로 분류한 유서(類書). 목판본은 상·중·하로 구분되어 있다. 상권에는 천도부(天道部)·지리부(地理部)·인륜부(人倫部)·군도부(君道部)·후비부(后妃部)·복서부(卜筮部)의 6부, 중권에는 치화부(治化部)·신도부(臣道部)·용인부(用人部)·출

  • 경서의오강해 / 經書疑誤講解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민진후·이호남 등이 경서의 오자 ·낙자 ·상사 ·전도된 부분을 교정하여 1694년에 간행한 주석서.유학서. 2권 2책. 목판본. 1694년(숙종20)에 간행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이 책은 당초 경외(京外)에서 전래되어 사용되는 경서(經書)들이 내용

  • 경서정음 / 經書正音 [언어/언어/문자]

    유교 경전의 원문 각 글자 아래 정음(正音)과 속음(俗音) 두가지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시하여 놓은 책들의 통칭. 조선시대의 중국어 통역관들에게 당시의 북경지방 중국어음으로 경서를 읽고 인용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간행된 역학서(譯學書 : 외교통역관들의 외

  • 경서집설 / 經書集說 [종교·철학/유학]

    『서경』에 관한 우리나라 학자들의 해설을 모아 소개하고 자신의 견해를 밝혀 엮은 주석서.유학서. 상·하 2권 2책. 필사본. 편자와 필사연대 미상. 서문과 발문도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제1책 첫머리에 목록이 있고, 이어 상권으로 우서(虞書)·하서(夏書)·상서(商書

  • 경성남문 / 鏡城南門 [예술·체육/건축]

    북한 함경북도 경성군 경성읍에 있는 조선시대 에 개축된 경성읍성의 남쪽 문(門).성문. 경성읍성(鏡城邑城)의 남문이다. 축대의 길이 16. 5m, 너비 11m, 높이 7m, 문루의 1층이 정면 5칸(13. 5m), 측면 3칸(8.05m)이며, 2층이 정면 4칸, 측면

  • 경성향교 / 鏡城鄕校 [교육/교육]

    함경북도 경성군 경성면 승암동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871년에 명륜당을 개축하고 이듬해에 판관 이주헌(李周憲)이 대성전과 동무(東廡)·서무(西廡) 등을 개축하였으며, 그뒤

  • 경세가 / 警世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정조 때 이가환(李家煥)·김원성(金源星)이 함께 지은 가사. 최초의 벽위가사(闢衛歌辭)주 01)로 이승훈(李承薰)의 문집인 『만천유고(蔓川遺稿)』 잡고(雜稿)에 전한다. 2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43행의 짧은 노래로, 4·4조가 주조이다. 작자가 두 사람인 셈

  • 경세유표 / 經世遺表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행정기구의 개편을 비롯한 관제·토지제도·부세제도 등 모든 제도의 개혁원리를 제시하여 1817년에 저술한 정책서. 제1책(권1∼3)과 제2책(권4∼6)은 천관이조(天官吏曹)·지관호조(地官戶曹)·춘관예조(春官禮曹)·하관병조(夏官兵曹)·추관형조(秋官

  • 경세정운 / 經世正韻 [언어/언어/문자]

    1678년(숙종 4) 최석정(崔錫鼎)이 지은 운학서. 2권. 필사본. 일본의 경도대학(京都大學)가와이문고(河合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것을, 1960년대에 들어와 처음으로 국내학자들이 발견, 연세대학교에서 영인·간행한 바 있다. 경세정운서설·운섭도(韻攝圖)·경세정운오찬(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