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경제·산업 83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경제·산업
  • 왜관 / 倭館 [경제·산업/산업]

    일본인이 조선에서 통상을 하던 무역처. 숙박처·접대처의 기능도 있었다. 태종은 1407년 동래의 부산포와 웅천의 내이포를, 1418년(태종 18)에는 울산의 염포와 고성군의 가배량을 개항, 1423년에는 부산포와 내이포, 염포에 왜인의 내왕을 허가 삼포가 개항. 그

  • 외자도입법 / 外資導入法 [경제·산업]

    외국자본의 국내 유치 및 보호를 목적으로 1966년 8월 3일 제정된 법률(제1802호). 외자의존형 경제개발전략을 채택한 박정희정권은 상업차관의 누증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을 피하는 동시에 고용기회 창출, 선진기술 도입 등의 부수적 효과를 노려 외자도입법을 제정, 공

  • 용문창 / 龍門倉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개경에 설치되었던 창고. 개성에는 용문창을 비롯하여 좌창·우창·대의창 이 있었다. 용문창 곡식은 부용창·우창과 같이 주로 전란이나 수한 등 비상시에 대비하였다. 1052년(문종 6)에 용문창의 곡식 8,000석을 염주·백주에 옮기어 농민에게 지급하였고, 10

  • 우창 / 右倉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에 국용의 재화를 관리하던 관청. 문종 때 서울에 좌창과 우창이 있어서 좌창은 관리들의 녹봉을 담당하고 우창은 공상(供上)을 담당하였으며, 관원으로는 국왕 측근의 근시를 별감으로 삼아 일을 보게 하였다. 1308년(충선왕 복위) 재정개혁의 일환으로 우창을 풍저

  • 우편 / 郵便 [경제·산업/통신]

    신서(信書) 및 일정한 물건을 일정한 조직에 의하여 규칙적으로 송달하는 제도. 우편은 전신·전화가 전기·전파의 힘에 의하여 통신하는 것임에 반하여 신서와 기타의 물건 자체를 수신인에게 송달하는 것이며, 그 송달수단으로는 사람·말 기타 육·해·공의 수송기관과의 연결이 특

  • 우편사서함 / 郵便私書函 [경제·산업/통신]

    전국의 집배 우체국에 설치되어 있는 가입자 전용으로 우편물을 받는 통. 이용하고 싶은 우체국에 신청하여 승인을 받고, 사용수수료와 사서함의 자물쇠 및 열쇠의 제작실비액의 두 배에 상당하는 금액의 담보금을 납부하여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료는 연액으로서 특급지가 2만 4

  • 우편엽서 / 郵便葉書 [경제·산업/통신]

    간편한 통신을 위하여 만들어진 통신방식으로 봉투에 넣지 않고 그대로 부칠 수 있는 카드형식의 편지지. 세계에서 처음으로 우편엽서를 발행한 것은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로 1869년 10월이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1884년 근대 우편제도가 처음 개설되었을 때 이른바 문위우표(

  • 우표 / 郵票 [경제·산업/통신]

    우편물에 첨부하여 우편요금을 납부하였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정부 또는 정부로부터 위임받은 기관이 발행하는 증표. 우정총국의 개국과 함께 맨 처음 발행된 우표는 5종의 문위우표(文位郵票)였다. 문위우표는 우리 나라 최초의 우표로서 다른 여러 나라의 예와 같이 여러 가지 난

  • 운봉수력발전소 / 雲峰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자성군(광복 당시 평안북도)에 있는 발전소. 운봉노동자구압록강의 병목골과 중국 쪽 대안을 막아 만든 운봉호의 수력을 이용하며, 1958년 8월 중국측과 공동건설하기로 하여 그 해 10월 착공, 1974년 9월에 완공되었다. 발전소 댐의 길이는

  • 운산광산 / 雲山鑛山 [경제·산업/산업]

    평안북도 운산군 북진읍에 있는 금광산. 운산광산도 1939년경 일본인이 경영하게 되었다. 광복 전에 운산광산은 대유동(大楡洞)·광양(光陽) 등의 금광산과 더불어 우리 나라 3대 금광으로 알려졌던 곳이다. 이 중 운산광산은 대유동광산과 어자령(於自嶺)을 중심으로 각각 1

페이지 / 8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