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신좌모 / 申佐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9∼1877). 원릉별검·성균관전적·병조정랑·종부시정 등을 역임하였고, 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실록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은퇴한 뒤에는 향리에 화수헌을 짓고 종친과 후진들을 교육,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다.

  • 신주 / 神主 [사회/가족]

    죽은 사람의 위를 베푸는 나무패. 대개 밤나무로 제작한다. 길이는 여덟치. 폭은 두 치가량이고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지게 생겼다. 보통은 혼전·종묘·가묘에 봉안한 것을 신주(神主), 기타의 사묘에 봉안한 것을 위판(位版)으로 불렀다. 조선시대에는 귀천의 구별없이 1척

  • 신준 / 申埈 [종교·철학/유학]

    1572년(선조 5)~1638년(인조 16). 조선 중기 문신. 조부는 신립, 부친은 신경진이다. 인조반정 때 백의종군하여 공적을 세웠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서 1623년(인조 1)에 구인기‧노수원‧박유명‧송영망‧신경식‧한여복‧홍효손 등과 함께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었

  • 신준미 / 申遵美 [종교·철학/유학]

    1491(성종 22)∼1562(명종 17). 조선 중기의 문신. 원우 증손, 할아버지는 영석, 아버지는 원, 어머니는 이철동의 딸이다. 조광조의 문인이다.1545년 (명종 즉위년)에 복과되고 봉상시주부·성균관전적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 뒤 인조·명종의 외척

  • 신증동국여지승람 / 新增東國輿地勝覽 [지리/인문지리]

    1530년(중종 25) 이행·윤은보·신공제·홍언필·이사균 등이 ≪동국여지승람≫을 증수 편찬한 책. 55권 25책.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찬지리서이다. 이 책은 세 차례의 수교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다. 원래 ≪동국여지승람≫은 1481년(성종 12) 50권으로 편찬되었다

  • 신증승평지 / 新增昇平誌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이수광(李晬光) 찬, 홍중징(洪重徵) 증보, 목판본, 1729년(영조 5), 1책(영본 전2권 2책). 표제와 판심제는 승평지(昇平誌)이다. 1618년(광해군 10) 전 순천부사 이수광이 찬한《승평지》를 1729년(영조 5)에 부사 홍중

  • 신증유합 / 新增類合 [언론·출판/출판]

    1576년(선조 9)에 유희춘이 ≪유합≫을 증보하고 수정하여 편찬한 한자 입문서. 2권 1책. 목활자본. ≪천자문≫·≪훈몽자회≫ 등과 함께 널리 이용된 한자 입문서. 1574년 황해도 해주에서 간행된 일이 있으나 잘못이 있어 수정하여 1576년 10월에 서문과 발문을

  • 신지효 / 申之孝 [종교·철학/유학]

    1561년(명종 16)∼1592년(선조 25). 조선 중기 유학자. 증조는 신한, 조부는 신응규, 부친은 신몽득이다. 동생은 선성현령을 지낸 신지제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왜적의 칼에 맞아 죽어가면서 부모님을 더 이상 모시지 못하게 되어 불효를 저지르

  • 신집 / 申楫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39(인조 17).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종위의 증손, 할아버지는 연, 아버지는 경남이다. 정경세의 문인이다. 1606년(선조 39)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문한직인 전적을 지냈다. 광해군이 즉위한 뒤 대북정권이 패륜행위를 거듭하자 벼슬을

  • 신창향교 / 新昌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에 있는 향교. 1872년(고종 9)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숙종 때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으며, 신창현감 왕경렬(王景烈)이 도고산(道高山) 진주사(震主寺)를 이건하여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