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산3호터널 / 南山三號─ [경제·산업/교통]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과 중구 회현동을 연결하는 터널. 길이 1,280m, 너비 9.2m(2차로, 한쪽 방향)의 쌍굴이다. 1종터널로 서울특별시 도시기발시설본부에서 관리한다. 서울의 도심과 강남지역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76년 5월부터 197
남산봉수대지 / 南山烽燧臺址 [경제·산업/통신]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남산 정상에 있는 봉수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4호. 『경국대전』에 전하는 목멱산봉수(木覓山烽燧)로, 서울에 있다고 하여 경봉수(京烽燧)라 하였다. 조선시대 전국 각지의 경보를 병조(兵曹)에 종합 보고하는 중앙 봉수소의 역할을 수행한 제일 중요
남산서울타워 / 南山─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2가에 있는 전파탑 전망대.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공간적 중심이자 상징적인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2005년 남산서울타워의 타워층을 N서울타워로 개칭하며 개보수하여 새로운 개념의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현재 남산서울타워는 소유자인
남산서원 / 南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 시사동에 있는 서원. 574년(선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지화(柳志和)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순조 때에 남궁 제(南宮濟)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남산요 [문학/구비문학]
조선 초에 지어진 참요(讖謠). 태조의 뒤를 이을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왕세자와 세도가 사이에 갈등이 있어, 이것을 풍자하고 예언한 것이다. 『증보문헌비고』 권71에 전한다. 하룻밤 사이에 형세가 역전해서 이방석 형제가 죽고 이방원이 득세하여 정도전과 남은도 함께 목숨
남산정 / 南山亭 [예술·체육/건축]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에 있는 조선시대 군청의 누정.누각. 송학루(松鶴樓)라고도 하는데, 노송이 울창한 남산에 수많은 학들이 날아와 서식하였던데서 유래한 것이다. 본래 군청의 2층 문루였다.1928년에 헐기가 아까워 이 지방 유생들과 유지들이 성금을 모아 지금 자리로 옮
남산집 / 南山集 [종교·철학/유학]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유학자 정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7권 1책. 석인본.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국민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사부(詞賦) 21편, 시 191수, 권2에 서(書) 22편, 권3에 논 5편, 설 5편, 의
남상교 / 南尙敎 [문학/한문학]
1784(정조 8)∼1866년(고종 3).조선 후기의 문신·문인·종교인. 아버지는 남이우(南履佑)이며, 어머니는 이기풍(李基豊)의 딸 이씨(李氏)이다. 5대조인 남익훈(南益熏)이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이후로 고조부인 남기명(南紀明)은 평택
남생이놀이 [생활/민속]
전라남도의 해안이나 도서지방에서 한가위날 밤에 주로 행해지는 민속놀이. 부녀자들이 <강강술래>와 함께 벌이는 놀이의 하나이다. ‘남생이놀이’라는 이름은 놀이의 동작이 남생이를 흉내내는 데에서 비롯한다. 사람들이 손과 손을 잡고 둥글게 돌아가다가 선소리꾼이 “남생아 놀
남서시집 / 南棲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유성문의 「등남한산성루」·「부매화십이절」·「세제유감」등을 수록하여 1911년에 간행한 시집. 불분권 1책. 석인본. 1911년경 종손 승호(升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종손 광호(廣鎬)의 발문이 있다. 성암고서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