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신재응 / 申在應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신흘 6세손, 조부는 신엽, 부친은 신광집이다. 생품이 총혜하여 5살에 학문을 수업하고, 10살에 종조가 되는 신재 신위에게 수학할 때 매일 수백 행을 기억하였고, 장성해서는 과재 김정묵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육적의 이수에 찬연하였다.
신재집 / 新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홍낙명의 시문집. 불분권 7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모두 없어 편집 경위와 필사 연도를 알 수 없다. 제1책은 부 4편, 시 66수, 소차 3편, 제2책은 서 53편, 제3책은 서 13편, 기 21편, 제4책은 잡저 40편, 제5책은 잡저로 논 1
신재집 / 新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도중의 시문집. 32권 13책. 필사본. 저자가 편집하였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권1·2에 시집소서, 시 304수, 부 1편, 금조 1편, 권3·4에 문집자서, 서 84편, 권5에 서 48편, 권6에 기 15편, 제발 19편, 찬 8편, 명 6편,
신전자초방언해 / 新傳煮硝方諺解 [언론·출판/출판]
《신전자초방》을 언해한 과학기술서. 조선 숙종 때 역관 김지남이 지은 과학기술서인《신전자초방》을 1698년(숙종 24)에 영중추부사 남구만의 건의로 간행하였다. 그러나 현존하지 않고, 1796년(정조 20)에 염초 만드는 방법을 쓴 중국 책을 한글로 해석하여 중간본으
신전자취염초방언해 / 新前煮取焰硝方諺解 [언어/언어/문자]
1635년(인조 13)에 이서(李曙)가 화약의 원료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 언해본. 『신전자취염소방언해』의 앞에 보이는 시말(始末)과 『신전자취방언해』의 끝에 보이는 득초시말법(得硝法始末)에 이 문헌을 간행하게 된 동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의 내용은 이서(李曙)는
신정모 / 申正模 [종교·철학/유학]
1691(숙종 17)∼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채의 증손, 할아버지는 대석, 아버지는 덕일, 어머니는 이성구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20년에 부정자, 1725년(영조 1)에 지평·정언·사옹원주부 등에 임명,
신정사서보주비지 / 新訂四書補註備旨 [종교·철학/유학]
사서류(四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4.6×15.2cm, 반곽은 20.9×13.1cm이다. 판심제는 사서보주비지(四書補註備旨)이다. 청(淸)나라의 등림(鄧林)이 찬(撰)한 것이다. 권수는 2권 1책이다.
신정왕후 / 神貞王后 [역사/조선시대사]
1808년(순조 8)∼1890년(고종 27). 익종의 비. 헌종의 어머니이다. 아버지는 만영, 어머니는 송시연의 딸이다. 12세 때 익종비로 책봉되어 세자빈이 되었고 효부라는 칭찬을 들었다. 1827년(순조 27) 헌종을 낳았다. 1834년 헌종이 왕위에 오르고 죽
신정하 / 申靖夏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준 증손, 할아버지는 여정, 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조원기의 딸이다. 유에게 입양되었다. 김창협의 문인이다. 1705년(숙종 3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부교리, 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신종옥 / 申從沃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관리. 조부는 신숙주, 부친은 신주이다. 관직은 파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헌납 경세창 또한 문제를 삼았지만 임금이 들어주지 않았다. 이후에도 장령 유숭조‧유희철과 정언 서후가 관직을 주는 것이 합당하지 못하다고 재차 아뢰었으나, 모두 들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