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음독구결 / 南明泉和尙頌證道歌音讀口訣 [언어/언어/문자]
여말선초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단어와 구절 뒤에 한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 등을 단 불교경전. 『남명천화상송증도가』에 기입되어 있는 여러 구결 자료 중, 여말선초의 것으로 추정되는 3종의 음독구결 자료이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는 당나라 승려 현각(玄覺)이 지은
남명학기유편 / 南冥學記類編 [교육/교육]
조선전기 학자 조식이 선현들의 언행에서 수양에 유익한 부분을 골라 엮은 수양서. 자료집. 5권 2책. 목판본. 권1은 논도지통체(論道之統體)로서, ≪성리대전≫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우주관을 체계적으로 233조목을 들어 분석, 설명하고 있다. 권2는 위학지요(爲學之要)로
남문창의록 / 南問倡義錄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김경수가 장성현 남문에서 창의한 사실을 기록한 의병록. 1592년 임진왜란 때 전좌랑(前佐郎)김경수(金景壽)가 종제인 전판관 김신남(金信男)과 두 아들 김극후(金克厚)·김극순(金克純)을 데리고 장성현남문(長城縣南門)에서 창의(倡義)한 사실을 기록한 책이
남민전사건 / 南民戰事件 [정치·법제/정치]
1979년 10월 9일, 16일, 11월 3일 3차례에 걸쳐 당국이 발표한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준비위원회> 사건의 약칭. 당국은 수사진행 상황을 발표, 78명으로 구성된 6.25이후 최대 규모의 지하 점조직인 남민전은 <표면상으로는 반체제를 가장하면서 베트콩 방식을 도
남반 / 南班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궁중의 숙직, 국왕의 시종·호종·경비, 왕명의 전달, 의장 등의 사무를 맡아보던 내관직. 남반직은 양반 및 천민과는 유를 달리하는 양민이나 가문에 결함이 있는 양반 자제들에게 관계진출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만든 제도의 하나이다. 특히, 잡로인의 남반 입사를 허
남병영 / 南兵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함경도 북청에 설치되었던 병마절도사영. 1466년(세조 12)에 처음 병마절도부사(兵馬節度副使)를 두었다가, 이듬해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겪은 뒤 병영으로 승격되었다. 남도 병영 혹은 남병영으로 통칭되었고 주장(主將)을 남병사라 불렀는데, 수군절도사를 겸하
남병집 / 南屛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정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아들 세구(世求)의 편집을 거쳐, 1753년(영조 29) 문인인 이주정(李周禎)·이종주(李宗周) 등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과 권말에 이종주의 발문이
남보 / 南譜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이원철(李源喆) 집, 필사본, 미상, 불분권 1책(93장). 이씨, 김씨 등 45개 성의 계보를 필사해 놓은 책이다. 권말에 이 책을 작성한 시기로 보이는 기록 '自辛未(1931) 9월 至壬申(1932) 8월 晩山主人 李源喆輯'이 필사되
남복리오층석탑 / 南福里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5층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높이 5.4m.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95호. 이 탑은 2층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린 석탑으로 미륵암 앞에 있다.하층기단과 상층기단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면석에 우주
남봉집 / 南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김치의 시·고시·서(書)·교서(敎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필사본. 이 책은 본래 5책이었는데, 1책은 분실되고 나머지 4책을 아들 득신(得臣)이 재편집하여 3권 1책으로 편성하였다고 한다. 득신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