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령전 / 南靈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옥(李鈺)이 지은 한문소설. 이 작품은 김려(金鑢)의 『담정총서 藫庭叢書』 중 이옥의 「매화외사 梅花外史」에 수록되어 있다. 「남령전」의 창작 시기는 작자의 생존 기간을 근거로 할 때, 18세기 말기에서 19세기 초 사이로 추정된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 남로전신선 / 南路電信線 [경제·산업/통신]

    1888년에 준공된 한성(지금의 서울)∼부산 간의 전신선로. 우리 나라 최초의 전신선로는 1885년 9월 28일 개통된 한성∼제물포(지금의 인천)간의 전신선이다. 이 전신선은 청나라의 주도 아래 가설되었고 한성전보총국이라는 청나라의 기구에 의하여 운영되었으나, 남로전신

  • 남록유고 / 南麓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석표의 시·소·유사·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5권 5책. 필사본. 표지의 서명은 ‘선고(先稿)’로 되어 있다. 그의 자손들에 의해 필사된 듯하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는 시 515수, 권3·4는

  • 남명가 / 南靈傳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원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작자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다. 작품명칭은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芝峰類說)』 권14에서 비롯되었고, 또 홍만종(洪萬宗)의 『순오지(旬五志)』에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는 조식(曺植, 호는 남명)이 지은 것이라는 기

  • 남명강목 / 南明綱目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교가 명나라의 사적을 수록하여 1908년에 기년체 편찬한 역사서. 5권 2책. 금속활자본. 1906년에 편자가 쓴 서문과 1907년 황로한주(黃翰周)의 서, 1908년 장지영(張志暎)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 남명문집 / 南冥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조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04년에 간행한 시문집. 1604년(선조 37) 제자 정인홍(鄭仁弘) 등에 의해 초판본이 간행되었으나 전해지지 않고, 『서애집(西厓集)』에 그 발문이 실려 있을 뿐이다. 1622년(광해군 14) 다시 정인홍이 중심이 되어

  • 남명조식설화 / 南冥曺植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전기의 학자 남명 조식(南冥曺植)에 관한 인물 설화. 남명 조식과 관련된 설화는 탁월한 학문이 신불의 도움에 의한 자각이라고 하는 점, 상사뱀 유형처럼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는 점도 각별하다. 남명이 실천의 학문을 강조하고, 자각의 학문을 내세운 것 역시 이러한 면

  • 남명집언해 / 南明集諺解 [언론·출판/출판]

    1482년(성종 13) 세종이 일부 번역한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계송>을 학조가 마저 번역하여 간행한 책. 상하 2권 2책. 을해자 주자본. 당나라 현각의 <증도가> 1수와 <선종오수원지>를 위정이 모아 ≪영가집≫이라 하였는데, 이것을 송나라 선사 남명천이 구마다

  • 남명천화상송증도가 / 南明泉和尙頌證道歌 [종교·철학/불교]

    송나라 승려 법천의 『남명천화상송증도가』를 주자본으로 중조하여 1239년에 번각한 불교서. 이 책은 주자본을 번각(飜刻)으로 거듭 새겨냈기 때문에 책 전체에 걸쳐 칼자국이 나타나고 또한 후쇄(後刷)하여 나뭇결이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새김이 매우 정교하여 바탕이 된

  • 남명천화상송증도가사실 / 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서룡이 송나라 화상 남명천의 「증도가남명천선사계송」을 풀이하여 1248년에 간행한 주석서. 불교서. 3권 1책. 이 책은 현재 해인사가 소장하고 있는 고려대장경 추가보유판에 수록되어 있다. 선사 남명천이 송(頌)하면서 인용한 고사(故事)·염송(拈頌)·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