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신석희 / 申錫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73). 헌종 때 증광별시에 급제하여, 철종 때 대사성·홍문관부제학·규장각직제학·이조참판·황해도관찰사와 도총관·예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고종 때 실록교정청의 당상이 되었으며, 홍문관·예문관·규장각의 제학, 대사

  • 신선태을자금단 / 神仙太乙紫金丹 [언어/언어/문자]

    조선 전기의 문신 이종준(李宗準)이 저술한 의서. 책의 내용은 서명이기도 한 신선태을자금단이라는 신령스러운 환약의 자료와 제조법, 이어서 황종(黃腫)·중풍 등에 듣는 효험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자세한 설명으로 되어 있다. 그 설명은 거의 중국의 의서에 근거하였으나, 각

  • 신설부 / 新雪賦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성간(成侃)이 지은 부(賦). 첫눈이 오는 것을 묘사하는 과정을 통해 문학하는 자세를 심각하게 검토한 글이다. 작자와 나그네가 대화하는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다. 『진일유고(眞逸遺稿)』 권4, 『동문선』 권3 등에 수록되어 있다. 「신설부」는 크게 3단으

  • 신섭 / 申㰔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우국지사. 1880년(고종 17) 제2차 수신사 김홍집이《사의조선책략》을 가지고 고종에게 바쳤다. 이에 신섭은 신사척왜상소문의 공통된 《조선책략》의 사학성의 지적과 사교(서학)의 배척을 강조하고 《조선책략》을 만이지역(일본)에 가서 가져와 중

  • 신성하 / 申聖夏 [종교·철학/유학]

    1663∼1736. 조선 후기의 문신. 완의 아들이다. 1704년(숙종 30)에 참봉이 되고, 이어 현감을 거쳐 연안부사가 되었다. 돈령부도정에 이르러 평운군에 봉해졌다. 문장이 뛰어났고 72세에 죽었다. 저서로는《화암집》이 있다.

  • 신소 / 申韶 [종교·철학/유학]

    1715년(숙종 41)∼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의 문신. 증조부는 신명규, 조부는 신심, 아버지는 신사건이다. 어머니는 김진옥의 딸이다. 신소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매진하여 경전과 예학에 조예가 깊었으나, 일찍 죽었다. 아들은 신광온, 신광직, 신광부, 신광

  • 신수이 / 愼守彝 [종교·철학/유학]

    1688∼1768 (숙종 14∼영조 44). 신수이는 글을 가르치면 금방 익혔을 정도로 영특하였고, 4∼5세 때에는 부모가 병에 걸리자 밤낮을 떠나지 않고 간호하였을 정도로 효자였다고 한다. 과거에 나아가지 않고 이재를 찾아가 학문을 배우는 한편, 관직에 나아가기를 꺼

  • 신승선 / 愼承善 [종교·철학/유학]

    1436(세종 18)∼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인도 증손, 할아버지는 이충, 아버지는 전이다. 어머니는 안강의 딸이다. 연산군의 장인이다. 1454년(단종 2) 사마시에 급제하고 돈녕부승, 정랑 등을 거쳐 병조참판, 예문관제학, 공조참판, 병조참판,

  • 신식 / 申湜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신숙주의 5대손, 광윤 증손, 할아버지는 서, 아버지는 중엄, 어머니는 유엄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76년(선조 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충청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 강원도관차사 등을 역임

  • 신심 / 申鐔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대사성 민일 증손, 할아버지는 부사 상, 아버지는 명규, 어머니는 남호학의 딸이다. 1704년(숙종 30) 춘당대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사서·지평·정언을 거쳐 도당의 홍문록에 올랐으며 지제교로서 우윤 김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