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대문교회 / 南大門敎會 [종교·철학/개신교]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1904년 제중원이 남대문 밖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전하면서 교회도 남대문밖교회 또는 남문밖교회로 불리웠다. 1910년 12월 새로운 교회당을 건축했으며, 1912년 박정찬이 초대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 1919년에 교인 이갑성, 함태영
남대지 / 南大池 [경제·산업/산업]
황해도 연백군 연안에서 남쪽 12㎞ 지점에 있는 조선시대의 저수지. 『문헌비고』에 남대지의 둘레가 8㎞(20리 102보)로 되어 있으나 제방의 길이와 저수 면적·몽리(蒙利:저수지나 보 등 수리시설의 혜택을 받는 것)면적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남대지가 ‘국중
남도문화제 / 南道文化祭 [생활/민속]
전라남도에서 각 시군의 참여하에 매년 열리는 향토문화제. 전통민속예술의 발굴 보존 및 전승을 통하여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하고, 전라남도민의 화합 분위기 조성 및 애향심 고취에 그 목적이 있다. 1966년의 제1회대회부터 1986년의 제15회대회까지는 당시 전라남도의 도
남도본사 / 南道本司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의 교무, 행정기관으로 한반도를 관할구역으로 하는 도본사의 명칭. <대종교규범> 제3장에 따르면, 백두산을 중심으로 동남서북으로 나누어 각각 도본사를 두도록 되어 있으나, 광복 이후로는 남한을 관할하는 남도본사만이 현존한다. 이는 다시 남1도, 남2도, 남3도,
남도석성 / 南桃石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에 있는 고려시대 대몽항쟁과 관련된 성곽.사적. 사적 제127호. 둘레 54m, 지정면적 20,169㎡. 고려 원종 때 배중손(裵仲孫)이 삼별초를 이끌고 진도로 남하하여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으면서 쌓은 성이라고 전한다.진도군에는 백제시대에 이미
남도진 / 南道振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선조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11세손이다. 일찍부터 저술에 전념하였으며 또한 예학저술에 힘쓰는 한편, 우집경(禹執卿)에게서 탄금법을 배우고, 안진경(顔眞卿)·유종원(柳宗元)의 서법을 공부하였다. 또한 시조와 가사를 짓고 자연을 완상하며 담담한 한거
남도집 / 南都集 [문학/한문학]
고려 전기 문인 최유청(崔惟淸, 1095~1174)의 시문집(詩文集). 『남도집(南都集)』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 권99 「최유청열전」과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최자(崔滋)가 엮은 『보한집』(권상)에서는 최유청의 문집을 『문숙공가집
남동구 / 南洞區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구. 동쪽과 남쪽은 경기도 시흥시, 서쪽은 미추홀구 및 연수구, 북쪽은 부평구 및 경기도 부천시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41′~126°47′, 북위 37°22′~37°27′에 위치한다. 면적은 57.01㎢이고, 인구는 53만 1395명
남동국가산업단지 / 南洞國家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남촌동·고잔동에 있는 국가산업단지. 수도권 정비 및 공업 재배치를 목적으로 수도권 내에 입지한 용도지역 위반 공장들을 서울에서 40㎞ 떨어진 인천 해안 지역인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남촌동·고잔동 일대의 폐염전과 반도형 구릉지로 이전하여 조성
남동임해공업지역 / 南東臨海工業地域 [경제·산업/산업]
한반도 남동 해안의 영일만에서 광양만에 이르는 대상(帶狀)형 임해공업지대. 960년대 초부터 남동 연안의 항구 도시를 중심으로 공업단지를 계획적으로 개발하게 되면서 남동임해공업지역은 우리나라 최대의 중화학 공업지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산업 입지 정책이 경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