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신사영 / 申思永 [종교·철학/유학]
1670(현종 11)∼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상 증손, 할아버지는 명규, 아버지는 구, 어머니는 조수한의 딸이다. 사복시첨정, 병조참지를 거쳐 승지에 임명되었다. 공무를 집행할 때에는 거침없이 왕에게 직간하고, 사생활에서는 근검으로 일생을 지내 그
신사철 / 申思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1∼1759). 숙종 때 문과 급제하여, 이조좌랑·전라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경종 즉위 후 대사간·대사성·대사헌을 역임한 뒤 신임옥사로 노론이 숙청될 때 파직되었다가, 영조 즉위 후 대사헌과 호조판서가 되었다.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등용되어
신산서원 / 新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주동리에 있었던 서원. 1609년(광해군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식(曺植)과 신계성(申季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같은 해에 ‘신산(新山)’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1616년
신상 / 申恦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2(현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정미 증손, 할아버지는 암, 아버지는 민일, 어머니는 성문준의 딸이다. 1629년(인조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 장령, 종성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은휴와집』·『부음록』·『휘언』·『진행초
신상권 / 申尙權 [종교·철학/유학]
1725년(영조 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신득윤, 조부는 신석이다. 부친 신경류와 모친 조석중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신명권이다. 1762년(영조 38) 정시에서 장원으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정언, 지평, 장령 등에 임명되었다.
신석노걸대언해 / 新釋老乞大諺解 [언어/언어/문자]
1763년(영조 39)에 변헌(邊憲)의 『노걸대신석(老乞大新釋)』 혹은 『신석노걸대(新釋老乞大)』를 언해한 것으로 추정되는 책. 『통문관지』 권8의 서적조(書籍條)와 집물조(什物條)의 기록에 의하면 1761년 변헌이 수정한 『노걸대신석』 1본과 더불어 그 언해본 3본이
신석박통사언해 / 新釋朴通事諺解 [언어/언어/문자]
『신석박통사』를 언해한 책. 『박통사신석언해』에 수록된 한어문(漢語文)은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에 수록된 한어문과 상당히 다르다.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의 한어문은 동일하다. 한어문의 각 한자 아래 한글로 붙여진 두가지 중국음 중 우측음, 즉 통칭 속음(
신석번 / 申碩蕃 [종교·철학/유학]
1596(선조 29)∼1675(숙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유 증손, 할아버지는 응암, 아버지는 근, 어머니는 덕수이씨이다. 정경세 문인이다. 1633년(인조 11) 사마시에 합격, 1641년에 대군사부, 경기전참봉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백원집』이 있다.
신석우 / 申錫愚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5∼1865). 순조 때 문과에 급제, 헌종 때 병조참판·우승지·양주목사·대사성·이조참의·승지·이조참판 등을 거쳐, 철종 때 경상도관찰사·대사헌·한성부판윤·형조판서·예조판서가 되었다. 동지정사로 청나라를 다녀왔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해주기적
신석호 / 申錫祜 [종교·철학/유학]
1816년(순조 16)∼1881년(고종 18).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신면위이다. 1866년(고종 3) 유후조 낙파상공의 천거로 경상도연보전도유사를 지냈다. 1876년(고종 13) 일제에 의해 강제로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자 최익현·황재현·홍재학 등과 함께 체결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