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구(부산광역시) / 南區(釜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의 남동부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 수영구, 서쪽으로 동구, 북쪽으로 부산진구·연제구와 접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남해에 연한다. 동경 129°03'~129°07', 북위 35°05'~35°09'에 위치한다. 면적은 26.81㎢이고, 인구는 28만 3101명(2
남구(울산광역시) / 南區(蔚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의 중남부에 위치한 구. 동쪽은 동해, 서쪽과 남쪽은 울주군, 북쪽은 울산광역시 중구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9°14′∼129°23′, 북위 35°27′∼35°33′에 위치한다. 면적은 73.00㎢이고, 인구는 34만 3598명(2015년 현재)이다. 14개
남구만 / 南九萬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개국공신 재 후손, 할아버지는 식, 아버지는 현령 일성, 어머니는 권박의 딸이다. 165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가주서·전적·사서·문학을 거쳐 이듬해 정언이 되었다. 1659년 홍문록에 오르고 곧 교
남구만사당 / 南九萬祠堂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있는 조선후기 남구만을 배향한 사당. 정면 2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건물. 공식명칭은 약천선생별묘(藥泉先生別廟)이며 경기도 용인시 향토유적 제53호로 지정되어 있다. 남구만(南九萬)을 배향한 사당이다. 이 사당은 조선 중기의 정치가이며
남구만초상 / 南九萬肖像 [예술·체육/회화]
조선 중기 문신 남구만의 초상화. 보물 제1484호. 남구만은 1656년(효종 7) 문과에 급제하여 함경도관찰사를 지냈고 이후 대사성과 형조판서를 거쳤다. 이 영정에 대해서는 그의 문집인 『약천집(藥泉集)』에 아무런 언급이 없어 작품양식 외에 다른 고찰이 힘든 상황이다
남구명 / 南九明 [종교·철학/유학]
1661(현종 2)∼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길, 아버지는 종사랑 상주이다. 1693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그러나 벼슬에 뜻이 없어 고향에서 10여년간 은거하다가 형 노명의 강력한 권유로 전적을 지내고, 1711년에 제주판관으로 부
남국의민요 [문학/구비문학]
진성기(秦聖麒)가 편찬한 제주도민요집. 제주도민요를 우선 ① 자탄가, ② 정가, ③ 경세가, ④ 근로가, ⑤ 만가, ⑥ 오락가, ⑦ 타령, ⑧ 동요, ⑨ 토속가, ⑩ 문답가로 나누고 그 순서에 따라 자료를 수록하였다. 문답가는 어희요(語戱謠)로서 전승동요의 한 갈래로
남궁계적 / 南宮桂籍 [언어/언어/문자]
1876년(고종 13) 관성교(關聖敎)에서 일컫는 삼성(三聖) 중 문창제군(文昌帝君)의 경문(經文)과 이 경문을 믿어서 얻은 영험기(靈驗記)를 모아 언해한 책. 불분권(不分卷) 1책. 목판본. 이 책의 국어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어두의 된소리는 ㅅ계·ㅂ계 합용병서를
남궁선생전 / 南宮先生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허균(許筠)이 지은 한문소설. 『성소부부고 惺所覆瓿藁』 제8권 문부(文部) 제5의 전(傳) 속에 있는데 5편의 작품 중에서 가장 길다. 「홍길동전」과 더불어 허균소설의 쌍벽을 이룬 「남궁선생전」은 전기체소설이 갖는 하나의 전형(典型)과 같이, 실재하였던 남
남궁억 / 南宮檍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운동가·교육자·언론인(1863-1939). 자는 치만(致萬). 호는 한서(翰西). 1896년 독립협회를 창립하여 고위급 지도자로 활동하였다. 1898년 9월 《황성신문》을 창간하고 사장에 취임하였다. 1912년 상동청년학원 원장을 겸하면서 독립사상 고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