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고서원 / 南皐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정읍시 북면 보정리 관동에 있는 서원. 1577년(선조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항(李恒)과 김천일(金千鎰)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5년(숙종 11)에 ‘남고(南皐)’라고 사액되어 서원으로 승격되어 선현배향과 지
남고유고 / 南皐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931년 그의 후손 태문(泰文)·원환(元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이병주(李秉株)의 서문과 권말에 그의 족제(族弟)인 규(珪)의 발문이 있다. 연
남고집 / 南皐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송규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918년 송성호(宋性浩)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황원선(黃源善)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는 시, 권3은 소(疏)·서(書), 권4는 잠(箴
남곡 / 嵐谷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회양 지역의 옛 지명. 고구려의 적목진(赤木鎭, 일명 沙非斤乙)인데, 신라 경덕왕이 단송(丹松)으로 고치고 연성군(連城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 남곡으로 바꾸어 회양(淮陽)에 속하게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남곡면이 되어 회양도호부의 직촌(
남곡문집 / 南谷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상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6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1에 시 66수, 권2에 소 2편, 서(書) 7편, 잡저 4편, 잠 2편, 기 1편, 제문 4편, 묘지 1편, 권3에 습유(拾遺)로 만시(輓詩) 5편, 잡저 1편, 기 1편, 논 2편, 책 1편
남곡문집 / 南谷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조정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0년에 간행한 시문집. 1750년(영조 26)경 조정서의 아들 조명진(趙明震)·조명리(趙明履)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조명리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83수, 권2에 서(書) 9편, 기·논·제문
남공철 / 南公轍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장가·정치가(1760∼1840). 이조판서·대제학·우의정 등을 거쳐 영의정까지 올랐다. 경전에 통달하였고 구양수 문장을 본받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난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서 많은 금석문·비갈을 남겼다.《규장전운》·《정종실록》등의 편찬에 참여하였고,《고려명
남광우 / 南廣祐 [언어/언어/문자]
1920∼1997. 국어학자. 아버지는 남상현(南相顯), 어머니는 이아기[全州李氏 岳只]이다.1938년 3월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였고, 1950년 5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69년 2월「조선한자음연구」로 중앙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남구(광주광역시) / 南區(光州廣域市) [지리/인문지리]
광주광역시의 남부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는 동구와 화순군, 서쪽으로는 서구와 광산구, 남쪽으로는 나주시, 북쪽으로는 서구, 동구, 북구에 접해 있다. 동경 126°55'~126°45', 북위 35°02'~35°08'에 위치한다. 면적 60.99㎢, 인구는 22만 131
남구(대구광역시) / 南區(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의 중앙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는 수성구, 서쪽으로는 달서구 송현동, 남쪽으로는 달성군, 북쪽으로는 중구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33′∼128°36′,북위 35°48′∼35°51′에 위치한다. 면적은 17.44㎢이고, 인구는 16만 852명(2015년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