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신근 / 申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4∼1764). 숙종 때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강진현감·지평·정언·장령·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 때 강진현감으로 재직 중 그의 서자를 토착부호의 딸과 강제로 혼인시키려다 문제가 생겨 관직을 뺏겼다. 그러나 학문이 높고 예론에 밝아 《의례유설

  • 신길원 / 申吉元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열사.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 당시 문경현감으로 있었는데, 왜군이 관내에 쳐들어 오자 관병 수십 명을 이끌고 관아를 지키며 결사적으로 항전하였다. 중과부적으로 왜병들에게 밀려 조령을 향하여 후퇴하였으나 20여 명의 부하들과

  • 신낙희 / 申樂熙 [종교·철학/유학]

    1836∼1887 (헌종 2 ∼ 고종 24) 아버지는 헌이다. 본서 첫 머리에 이력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으나, 자료가 없어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고종 때 병조・공조판서를 역임하고 조선의 외교를 담당했던 신헌의 셋째 아들이자 어영대장 신정희의 아우이다. 관

  • 신녕 / 新寧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사정화현(史丁火縣, 또는 花山)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신녕으로 고쳐 양주(良州) 소관의 임고군(臨皐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1018년(현종 9) 경주부(慶州府)의 임내가 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 감무를 두

  • 신녕향교 / 新寧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1592년에 회신되었다가 1615년(광해군 7) 중건하였고, 1686년(숙종 12)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9

  • 신당서원 / 新塘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진주시 집현면 장흥리에 있었던 서원. 1710년(숙종 3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지서(趙之瑞)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 위패를 모셨다. 1718년에 ‘신당(新塘)’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

  • 신대승 / 申大升 [종교·철학/유학]

    1731년(영조 7)~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신탁, 조부는 신적하, 부친은 신유. 외조부는 이득보, 처부는 이영록이다. 1770년(영조 46) 정시 문과에서 장원 급제하였다. 1771년(영조 47) 5월 사헌부지평, 8월 사간원정언이 되었으며, 1776년(영조

  • 신덕왕후추상휘호망단 / 神德王后追上徽號望單 [정치·법제]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 곡산강씨에게 휘로를 추상하기 위해 1669년(현종 10) 8월 20일 빈청에서 올린 추상휘호 망단. 이 망단은 휘호르 '순원현경(順元顯敬)' 한 가지를 써서 단망으로 올린 형태, 각각의 글자 아래에 그 의미를 네 글자의 한자로 풀이하여 현주하였다.

  • 신도가 / 新都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초기에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가사는 『악장가사』에 실려 있다. 창작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한양으로 천도한 태조 2년(1393)에서 태조 3년 사이로 추정된다. 내용은 신도읍(漢陽)의 형승(形勝)과 그 미성(美盛)함을 노래하고, 조선 태조의 성수

  • 신도비명 / 神道碑銘 [문학/고전산문]

    조선 태종(太宗) 헌릉(獻陵)의 신도비명. 앞면 첫째 행에는 '유명증시 공정 조선국 태종 성덕신공 문무광효대황 헌릉 신도비명(有明贈諡恭定朝鮮國太宗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獻陵神道碑銘) 병서(幷序)'라 새겨 있다.

페이지 / 1029 go